Publications

다층노후소득보장체계 관점에서의 공적연금제도 개편방안 = Reform Plans of Public Pension From Perspective of Multi-pillar Old Age Income Security System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윤석명
dc.contributor.author류건식
dc.contributor.author우해봉
dc.contributor.author이정우
dc.contributor.authorTakayasu Yuichi
dc.contributor.authorIsmo Risku
dc.contributor.author남효정
dc.contributor.author서희정
dc.date.accessioned2015-08-24T08:47:46Z
dc.date.available2015-08-24T08:47:46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isbn978-89-6827-079-6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4169
dc.description.abstract□ 향후 도래할 저출산?저성장?고령사회에서도 효과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소득보장체계 개편방안 모색 □ 현행 공적연금제도 현황 및 문제점 파악 ○ 제도 적용의 보편성, 급여의 적절성, 제도의 지속 가능성 측면 ○ 제도별 형평성 측면 □ 노후 준비 실태 및 인식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연령별, 소득계층별 최적 노후소득보장체계 구축 방향 모색 □ 우리 현실에 부합하며,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할 수 있는 공적연금제도 및 노후소득보장체계 구축방안 제시
dc.description.abstractAmong OECD(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countries, Korea shows the highest elderly poverty rate that is closely related to the aggravating quality of life and the consequent increasing rate of suicide among the elderly generation. Under this circumstance, our society is required to take special countermeasures against elderly poverty. It has also been continuously pointed out that there needs to be a special measure for the current elderly generation who has not been properly prepared for their elderly life. Eradication of elderly poverty, which was caused by social and historical circumstances, has emerged as a national issue. Moreover, the most controversial issue among the ruling party as well as the opposition party members during the 18th presidential election in Korea was whether a basic pension based on universal or quasi-universal tax scheme would be introduced or not. Meanwhile, the Basic Pension Bill combining National Pension and basic pension has been submitted to and will be officially reviewed by the National Assembly. Reflecting such a reality, this study aims to take a more concrete look at the current status of elderly poverty in Korea and then analyze what types of approaches should be taken to achieve the policy goal of alleviating elderly poverty and to win support from the future generation, who will mainly bear the increasing financial burden for the elderly. Based on such analysis, this study intends to propose policy suggestions for maximizing elderly poverty reduction effects and the sustainability of pension schem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15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5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6 제2장 우리나라 다층노후소득보장제도 현황 및 문제점 21 제1절 노인빈곤 현황 21 제2절 다층노후소득보장체계의 현황과 문제점 27 제3절 노후소득 준비 환경의 변화 양상 40 제4절 노후소득 준비 현황 44 제5절 종합 및 시사점 55 제3장 일본 노후소득보장제도 현황과 동향 59 제1절 일본 다층노후소득보장 체계 59 제2절 일본의 공적연금제도 현황과 개선동향 60 제3절 일본의 사적연금제도의 특징과 최근 변화 78 제4절 소결 90 제4장 OECD 회원국 공무원연금제도 개관 95 제1절 공적연금제도 지속가능성 개관 95 제2절 OECD 회원국 공무원연금제도 비교 100 제5장 독일의 공무원연금제도 111 제1절 독일의 전체 노후소득보장체계 111 제2절 독일 공무원의 신분적 특성과 공무원사회보장체계 123 제3절 공무원부양제도의 구성 체계 131 제4절 공무원부양제도의 재정적 지속가능성을 위한 법적?제도적 개혁 내용 155 제5절 독일 공무원연금제도의 운영에 대한 평가 163 제6장 일본의 공무원 연금 개혁(피용자 연금 일원화) 172 제1절 현행 연금제도와 피용자 연금 일원화에 이르게 된 경위 172 제2절 피용자 연금 일원화의 구체적인 내용-부담과 급여의 일원화 182 제3절 피용자 연금 일원화 구체적인 내용-재정단위의 일원화 194 제4절 결론 199 제7장 결론 및 정책적 제언 204 제1절 후세대의 노인부양에 대한 실태분석과 시사점 204 제2절 노후다층소득보장체계 구축을 위한 종합적인 측면에서의 시사점 212 참고문헌 217 부록 231 부록 1. On adequacy and sustainability of pensions in Finland 231
dc.formattext/plain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다층노후소득보장체계 관점에서의 공적연금제도 개편방안
dc.title.alternativeReform Plans of Public Pension From Perspective of Multi-pillar Old Age Income Security System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다층노후소득보장체계
dc.subject.keyword공적연금
dc.subject.keyword국민연금
dc.subject.keyword공무원연금
dc.subject.keyword퇴직연금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윤석명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우해봉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13-31-16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13-31-16
dc.subject.kihasa공적연금
KIHASA 주제 분류
소득보장 > 공적연금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