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성폭력 피해자들의 귀인양식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관계에서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s of Coping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ributional Styles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Sexual Assault Victim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심혜선
dc.contributor.author김지현
dc.contributor.author전종설
dc.date.accessioned2015-07-16T02:38:24Z
dc.date.available2015-07-16T02:38:24Z
dc.date.issued2015-06-30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401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성폭력 피해자의 귀인양식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간의 관계에서 성폭력에 대한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성폭력 피해여성 70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중다회귀분석과 Sobel test를 실시하여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 성폭력 귀인양식 중 타인 비난적 귀인이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폭력에 대한 대처방식 중 자기파괴적 대처는 귀인양식 중 타인비난적 귀인과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간의 관계에서 완전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즉, 타인비난적 귀인이 높을수록 자기파괴적 대처가 높아져 외상 후 스트레스가 높아짐을 의미한다. 따라서 성폭력 피해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성폭력에 대한 귀인양식과 대처방식을 고려한 피해자 치료 프로그램 및 사후 서비스의 제공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coping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ributional styles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among sexual assault victims. Participants were a total of 70 victims of sexual assault and the data were collected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blaming others significantly affected PTSD. Also, self-destructive behaviors among coping strategies fu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laming others and PTSD. That is, as the victims demonstrated more attributions with blaming other people, they tended to demonstrate the self-destructive behaviors more frequently. The results suggest that intervention for attributional styles and coping strategies should be provided to decrease the post-traumatic stress of the victims of sexual assault. Treatment programs and aftercare services need to be provided to sexual assault victim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모형 및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dc.format.extent28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성폭력 피해자들의 귀인양식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관계에서 대처방식의 매개효과
dc.title.alternativeThe Mediating Effects of Coping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ttributional Styles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Sexual Assault Victim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성폭력
dc.subject.keyword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dc.subject.keyword귀인양식
dc.subject.keyword대처방식
dc.subject.keywordSexual Assault
dc.subject.keyword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dc.subject.keywordAttributional Styles
dc.subject.keywordCoping Strategies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5
dc.citation.number2
dc.citation.startPage287
dc.citation.endPage314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5권 제2호, pp.287-314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5 No.2, pp.287-314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