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사회대타협을 위한 사회협약 국제사례 연구와 시사점 - 사회협약 창출능력을 중심으로 = Implications of International Social Pacts Cases for Korean Social Consensus Building Capacity

제목
사회대타협을 위한 사회협약 국제사례 연구와 시사점 - 사회협약 창출능력을 중심으로 = Implications of International Social Pacts Cases for Korean Social Consensus Building Capacity
저자

유근춘 ; 최연혁 ; 정병기 ; 김종법 ; 이호근 ; 국중호 ; 김선희

키워드
갈등 ; 사회대타협 산출능력 ; 사회대타협 산출능력의 조건
발행연도
2014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우리나라는 현재 많은 갈등을 겪고 있다. 보건복지 분야에서도 우리나라가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 여러 가지 의견이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한 가지 대안 제시가 보건복지의 방향에 대한 우리 사회의 대타협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한 발자국 더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하고자 한다. 즉 이제 사회대타협 자체보다는 사회대타협을 창출하는 능력에 눈길을 돌려야 할 때라는 것이다.
현재 어떻게 사회대타협이 이루어졌어도 변화하는 상황에 의해 새로운 대타협이 필요해지는 경우 사회대타협 창출능력이 없으면 곧 갈등으로 인한 문제를 겪게된다. 즉 사회대타협 창출능력이 있는 사회는 갈등이 계속 밀려와도 이에 대해 계속적인 대처를 하면서 살아남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사회대타협에서 사회대타협 창출능력에로의 관심의 전환이라는 주제에 대해 이론적 배경을 제공하고, 대표적인 국제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우리나라에서 사회대타협 창출능력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그 형성과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The main subject of this study is that the social consensus building capacity is more important than the social consensus itself. If a society does not have a social consensus building capacity, it cannot succeed in responding the continuous demand for new social consensus, although it has now a social consensus. On the contrary if a society has a consensus building capacity, it can respond to the continuous demand for new social consensus, which is needed for the changed new social environment.
To promote social consensus building capacity a society must respect following conditions.
Firstly, the democracy makes the conscious engagement possible.
Secondly, a society must be sensitive to a formative moment, which an external great crisis creates.
Thirdly, there must be a good social process for social leader selection in order to make a right decision in a formative moment.
Fourthly, there must be a collective and open institutions in public world in which man can discuss politics. This makes the resonable action possible, which is neither narrow self-interest nor altruism.
Fifthly, the conditions for promoting contingent consent must be satisfied.
Sixthly, the traditional mental capital that can promote social consensus building capacity must be found, inherited and creatively developed.
목차
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1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2
제2장 사회대타협 창출능력 25
제1절 서론 27
제2절 사회에서의 인간의 행위와 자유 29
제3절 자유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과 순간 32
제4절 사회대타협 창출능력의 실현조건 37
제5절 소결 43
제3장 스웨덴의 사회협약 전통과 사회협약 창출능력 49
제1절 서론 51
제2절 스웨덴 사회협약 방식의 특징 53
제3절 스웨덴 정치문화의 형성과 발전과정 57
제4절 조합주의적 타협방식과 주체세력 72
제5절 토론 80
제6절 소결 89
제4장 네덜란드의 사회협약 창출능력 사례연구 93
제1절 서론 95
제2절 주요개념: 코포라티즘과 사회협약 97
제3절 네덜란드 사회협약의 역사적 변천 102
제4절 사회 코포라티즘적 사회협약 정치 창출의 조건과 배경 108
제5절 네덜란드 사회협약 정치의 전환 및 운영과 성과 117
제6절 소결 133
제5장 이탈리아: 사회협약 모델의 제도와 환경 137
제1절 서론: 이탈리아 사회협약 모델의 기반과 배경 139
제2절 이탈리아의 사회적 협약의 이론적 배경과 정치적 의미 164
제3절 이탈리아 사회협약 모델의 한국적 함의와 가능성 181
제6장 독일의 사회협약 창출능력 사례연구 201
제1절 독일의 사회협약 체제의 발전과 현황 203
제2절 독일의 사회협약 창출 능력의 주요 요소 207
제3절 경제위기시 독일 사회협약 체제의 협약창출 능력 227
제4절 비스마르크형 ‘배제적 복지국가(Exclusive welfare state)’ 모델의 도전과
과제 246
제5절 소결 251
제7장 일본의 사회협약 창출능력 사례연구 257
제1절 서론 259
제2절 노동조합과 노동시장의 2중 구조 262
제3절 임금결정 사회협약 277
제4절 정노사(政勞使) 회의에서의 각계의 발언 291
제5절 정노사(政勞使) 회의와 사회협약 창출과정 307
제6절 정책관점의 평가와 시사점 319
제8장 요약 및 결론과 우리나라에의 시사점 331
제1절 요약 및 결론 333
제2절 우리나라에의 시사점 345
참고문헌 349
부 록 371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수시)2014-09
ISBN
978-89-6827-133-5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사회통합
사회보장 일반 > 국제사회보장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