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사회통합 실태진단 및 대응방안 연구 -사회통합과 국민행복을 중심으로 = A Study of Social Cohesion and Happiness in Korea with Policy Recommendation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미곤
dc.contributor.author여유진
dc.contributor.author김태완
dc.contributor.author정해식
dc.contributor.author우선희
dc.contributor.author김성아
dc.date.accessioned2015-07-03T07:34:54Z
dc.date.available2015-07-03T07:34:54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isbn978-89-6827-201-1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388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사회통합의 수준 및 결정요인, 국민행복의 수준 및 결정요인, 사회통합과 행복 간의 관계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결과, 우리사회의 신뢰수준은 4.59점(10점 척도), 공정성은 2.39점(5점 척도), 사회활동 참여 단체는 0.36개로 나타났다. 사회통합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주는 요인은 발견하기 어려웠지만, 주관적 소득계층 변수는 대부분의 사회통합 하위요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행복수준은 6.18점(10점 척도)으로 조사되었고, 행복의 결정요인은 성, 연령, 정규직 여부, 만성질환자 여부, 부채, 재산, 2년 후 전망, 신뢰수준, 불공정인식, 사회참여도 등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사회통합과 행복간의 관계에서는 사회에 대한 신뢰도가 높을수록, 각종 친목 단체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할수록 행복도가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explored the level of social cohesion and happiness and their association. We looked at various concepts of happiness and conducted literature reviews. Also, as part of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f a total of 3,648 adult Koreans sampled across the country, on which we based our analysis of the level and determinants of happiness and social cohesion in Korean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The average scores for “trust” and “fairness” were 4.59 (out of a possible 10) and 2.39 (out of a possible 5), respectively. The respondents were found to (actively) participate in an average 0.36 social activities. Their happiness level, averaged at 6.18 (out of a possible 10), was found to vary depending on gender, age, employment status (regular or non-regular), whether or not living with chronically-ill family member(s), debt, wealth, self-rated social trust level, awareness of social unfairness, 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Our multiple regression and multinominal logic analyses identified no factors that were commonly associated with all sub-dimensions of social cohesion. Yet, “self-identified class” was found to affect most of the sub-dimensions. The association between happiness and social cohesion wa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one’s social trust and the more actively one participates in social activities, the higher one’s happiness sco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point to the need for increased policy attention for social cohesion. In particular, there needs to be intensive health support for families with chronically-ill membe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23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5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6 제2장 사회통합의 개념 및 수준 31 제1절 사회통합의 개념 33 제2절 선행연구 검토 36 제3절 한국의 사회통합 수준 47 제4절 한국인의 사회통합 상태 진단 63 제5절 소결 및 시사점 73 제3장 사회통합인식의 결정요인 77 제1절 이론적 배경 79 제2절 사회통합인식의 결정요인 분석 87 제3절 사회통합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134 제4절 소결 및 시사점 143 제4장 행복의 개념 및 수준 147 제1절 이론적 배경 149 제2절 선행연구 158 제3절 가구 유형별 개인 특성별 행복수준 165 제4절 소결 및 시사점 178 제5장 행복의 결정요인 181 제1절 서론 183 제2절 기존 연구 및 연구 방법 185 제3절 분석 결과 193 제4절 논의 및 소결 209 제6장 결론: 사회통합과 행복간의 관계 및 시사점 211 제1절 사회통합과 행복간의 관계 213 제2절 함의 및 정책제언 215 참고문헌 221 부록 227 부록1. 사회통합 및 국민행복 인식조사 표본설계 227 부록2. 사회통합 및 국민행복 인식조사 조사표 246 부록3. 사회통합 및 국민행복 인식조사 기초분석표 258
dc.formatapplication/pdf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사회통합 실태진단 및 대응방안 연구 -사회통합과 국민행복을 중심으로
dc.title.alternativeA Study of Social Cohesion and Happiness in Korea with Policy Recommendation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사회통합 수준
dc.subject.keyword사회통합 결정요인
dc.subject.keyword행복 수준
dc.subject.keyword행복 결정요인
dc.subject.keyword사회통합과 행복간의 관계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미곤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김태완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여유진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정해식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우선희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14-26-1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14-26-1
dc.subject.kihasa사회통합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사회통합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2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