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미혼여성 임신 전 출산건강 관리지원 방안 연구: 산부인과 이용 및 인터넷 이용 환경 개선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이상림
dc.contributor.author임지영
dc.contributor.author이은주
dc.contributor.author조영태
dc.contributor.author라채린
dc.date.accessioned2015-05-22T07:58:28Z
dc.date.available2015-05-22T07:58:28Z
dc.date.issued2014
dc.identifier.isbn978-89-6827-212-7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3753
dc.description.abstract여성의 생식건강 증진과 건강한 아이의 출산을 위해서 임신 이전 시기부터 출산건강을 관리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필요사항이다. 특히 우리의 초저출산 상황을 고려할 때 건강한 출산을 위한 임신 전 관리를 지원하는 정책의 필요성은 매우 크다. 임신 전 출산건강 관리는 의료 서비스의 일방적 지원과 같은 방식으로 이뤄지는 것이 아니라, 개개인의 건강관리 역량 증진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임신 전 관리를 위한 정책 역시 이를 지원할 수 있는 환경 개선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이 연구는 다양한 임신 전 관리의 영역들 중에서 현재의 지원 체계로도 가시적 개선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미혼여성의 산부인과 이용’과 ‘인터넷 생식건강 정보이용’의 실태와 문제점들을 분석한다. 생식건강에 대한 지식 및 인식 부족, 산부인과에 대한 편견 등은 미혼여성의 산부인과 방문을 가로막는 장애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상황에서 생식건강 정보 습득의 인터넷 의존도는 높아지고 있지만, 인터넷 생식건강 정보 이용 환경을 개선하려는 정책적 방안은 크게 논의되지 않고 있었다. 이 보고서는 실태분석을 통해 청소년을 포함한 미혼여성의 산부인과 이용 유도를 위한 다양한 정책제안을 제시한다. 그리고 인터넷 생식건강 이용환경 개선에 대해서도 현재의 상호작용적 인터넷 환경에 걸맞은 현실적 이용환경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이 연구는 임신 전 관리에 있어 의료서비스 영역뿐만 아니라, 교육, 직장, 복지, 지역사회 등 다양한 비의료영역 간의 협업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dc.description.abstractPreventive approach for preconception care optimizes the chances for a healthy mother and baby at relatively small cost. Korean policy approach for maternal and child health care, however, has focused on perinatal and postnatal care based on medical-centered view. Preconception care is broad approach that includes daily life reproductive health care even from adolescent period to inter-conception period.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the recognition and use about gynecologic medical service, and online reproductive health information. Appropriate use of gynecologic servic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of preconception care not only for pregnant women but also unmarried women including adolescents. The negative prejudice against gynecologic service use prevents women, especially of unmarried women from visiting the hospital at appropriate time in Korea. Internet plays an important role to provide reproductive health information in Korea where visit to obstetrician and gynecologist is limited. The earlier studies on online health information, however, have been focused on unilateral provision of information overlooking complicated features of user, reproductive health information, and interactive internet media. The results of analyses demonstrate that although negative perception of gynecologic service use for unmarried women is extensive, the perception of those who have experienced the hospital use is much less negative. For the online reproductive health information, the greater part of unmarried females use non-medical and unofficial web-sites including private portal sites, blogs, or internet communities such as ‘internet cafe’, rather than official health information web-sites of government or medical institutions.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rovides various policy recommendations including extended application of health insurance for unmarried females, establishment of network between school and local gynecologic hospital, gynecologic hospital visits voucher for adolescents, education for internet user, internet counselling, and so on. The study suggests that various policy approaches reflecting daily life styles and cultural factors as well as close collaboration between medical and non-medical support sectors, are critical factors in a strategy to improve preconception care including even unmarried femal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11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제2절 연구 주요내용 및 연구방법 13 제2장 임신 전 출산건강 관리 실태 및 정책방향 23 제1절 임신 전 출산건강 관리와 생애적 접근 23 제2절 임신 전 출산건강 관리의 해외사례 32 제3절 우리나라 임신 전 관리 실태와 정책 필요성 66 제4절 미혼여성의 산부인과에 대한 인식 실태조사 결과 76 제3장 건강검진을 통한 성인기 임신 전 여성 산부인과 이용 활성화 방안 105 제1절 성인 미혼여성의 산부인과 이용 실태 105 제2절 우리나라의 여성 생식건강 관리와 건강검진 서비스 113 제3절 건강검진 등을 이용한 생식건강 증진 방안 117 제4장 학교 기반 청소년들의 산부인과 이용 활성화 방안 131 제1절 청소년들의 생식보건 관리 및 산부인과 이용 실태 131 제2절 산부인과 등을 통한 청소년 생식보건 증진 방안 150 제5장 임신 전 생식건강 관리와 인터넷 활용 159 제1절 생식건강 및 임신준비 관련 인터넷 환경 실태 160 제2절 생식건강 증진을 위한 인터넷 이용환경 개선 방안 202 제6장 미혼여성의 산부인과 이용에 대한 심층면접 조사결과 219 제1절 심층면접 연구 배경 219 제2절 자료수집 220 제3절 자료분석 223 제4절 결론 248 제7장 요약 및 결론 253 참고문헌 257 부록 263 부록1. 연구참여동의서 263 부록 2. 조사표 267
dc.formattext/plain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미혼여성 임신 전 출산건강 관리지원 방안 연구: 산부인과 이용 및 인터넷 이용 환경 개선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미혼여성
dc.subject.keyword임신 전 관리
dc.subject.keyword산부인과 이용
dc.subject.keyword인터넷 이용환경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상림
dc.type.other협동연구
dc.identifier.localId협동연구 2014-1-2
dc.subject.kihasa보건의료 서비스
dc.subject.kihasa저출산대응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보건의료 서비스
인구와 가족 > 저출산대응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