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노인단독가구의 생활 현황과 정책 과제 = Living Profiles of Older-Persons-Only Households and Policy Implications

제목
노인단독가구의 생활 현황과 정책 과제 = Living Profiles of Older-Persons-Only Households and Policy Implications
저자

정경희 ; 오영희 ; 황남희 ; 권중돈 ; 박보미

키워드
노인단독가구 ; 독거가구 ; 부부가구 ; 노인복지정책 ; 수요-공급 분석
발행연도
2014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노인단독가구의 특성 및 욕구의 종합적인 파악과 정책적 함의 도출을 목적으로 하는 본 연구는 전국조사자료(2011년도 노인실태조사와 2012년도 가계동향조사)분석, 집단 면접 및 일대 일 면접, 정책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또한 대표적인 노인 문제인 빈곤, 질병, 고독과 소외, 무위라는 노년기의 4고(四苦)에 해당하는 정책문제의 영역별로 배분의 기준을 설정한 후 정책대상 집단의 특성을 4개 집단(위기집단, 취약집단, 사회지지 필요집단, 자립생활 지향집단)으로 분류하고 각 규모를 파악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자녀동거를 기본으로 설정하는 것에 벗어난 정책방향과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하며 노인단독가구의 다양성과 욕구 증대에의 적극적 대응과 더불어 기존 노인복지정책의 대상범위 확대 및 체질 개선 등의 노력도 필요하다는 정책제언을 하고 있다.

Among older persons, the proportion of those who live alone or with spouse only is increasing. It is a result not only of demographic changes but also of changes in attitudes and cultural atmosphere in Korea.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empirical base for policy measures to adequately respond to changes in the later-life household structure. To that end, this study analyzes the National Survey of Living Profiles and Welfare Needs of Older Persons (2011) and the National Survey of Household Income and Expenditure (2012). In addition to these quantitative approaches, qualitative approaches are employed, such as focus group interviews and in-depth face-to-face interviews.
This study consists of five parts. The first part reviews existing research articles about changes in the later-life household structure. The second part presents the outcome of the analysis of data from the two national surveys. The third discusses the main themes and findings from focus group interviews and in-depth face-to-face interviews conduced of a total of 15 persons. The fourth part analyzes the framework of supply and demand based on 9 indicators in 4 areas, using data from the 2011 National Survey of Living Profiles and Welfare Needs of Older Persons. Also, this study categorizes older-persons-only households into 4 types according to the urgency of policy intervent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last part makes suggestions for policy directions and priority-setting for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hanges in the later-life household structure.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1

제2장 선행연구 검토17
제1절 노년기 가구형태 변화 추이 17
제2절 노년기 가구형태 관련 국내․외 연구 동향 21
제3절 시사점 28

제3장 노인단독가구(독거가구와 부부가구)의 일반 특성과 생활 현황 33
제1절 단독가구 거주 노인의 일반 특성과 생활 현황:
비단독가구 거주노인과의 비교 33
제2절 독거가구와 부부가구의 생활 현황 비교 47
제3절 노인단독가구의 제특성별 생활 현황 57
제4절 종합 95

제4장 노인단독가구에 대한 질적 접근103
제1절 집단 면접 103
제2절 일대일 면접 116
제3절 종합 133

제5장 노인복지정책 분석139
제1절 노인복지정책의 목표와 방향 분석 139
제2절 노인복지정책 영역별 수요-공급 분석의 기본가정 142
제3절 노인복지정책 영역별 수요-공급 분석 149
제4절 노인단독가구의 정책대상 167

제6장 결론 173
제1절 종합 173
제2절 정책적 함의 176

참고문헌183

부록: 가계동향조사 기초 분석189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4-22-8
ISBN
978-89-6827-190-8
KIHASA 주제 분류
사회서비스 > 노인복지
인구와 가족 > 가족변화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7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