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저출산 정책 확대에 따른 자녀 양육 행태 변화 분석 = Analysis on childcare behaviors after the expansion of family policies

제목
저출산 정책 확대에 따른 자녀 양육 행태 변화 분석 = Analysis on childcare behaviors after the expansion of family policies
저자

신윤정 ; 기재량 ; 우석진 ; 윤자영

키워드
저출산 ; 돌봄 시간 ; 가사노동시간 ; 자녀양육 ; 양성평등
발행연도
2014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본 연구는 저출산 정책 확대 시기 전후로 나타난 가사 활동 시간과 자녀 돌봄시간의 시계열적 변화 및 내재되어 있는 메커니즘을 분석하였다. 남성들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참여율과 시간 사용량이 현저하게 낮고 여성의 참여율과 시간 사용량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시간 증가의 대부분은 비구조적인 요인에 의해 주도된 반면, 여성의 가정 관리 시간 감소는 구조적인 요인, 돌봄
시간의 증가는 비구조적인 요인에 기인된 바가 컸다.
자녀 돌봄 시간의 증가는 자녀에 대한 과도한 투자가 이루어지지고 있는 우리사회에서 경제적인 투자 뿐만 아니라 시간적인 투자도 함께 요구하고 있다는 사실을 반영하고 있다. 저출산 시대에서 자녀에 대한 투자는 공적인 영역의 주도하에 이루어 질 필요가 있으며 남성들의 자녀 양육 및 가사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서는 인식 개선 사업과 더불어 안정적인 일자리를 보장해 주는 노동 시간 정책이
도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changes in time spent on childcare and household work from 1999 to 2009 by using data from Korea Time Use Survey. In order to examine changes in time, the differences are broken down into explanatory factors and unexplanatory factors. This study estimates three models: Oaxaca-Blinder model, Juhn-Murphy-Pierce model, and Unconditional Quantile Regression Model.
The amount of time spent on childcare and household work increased for men. For women, time spent on childcare increased similar with men but time spent on household work decreased. Though these changes, men still spend very limited times on childcare and household work compared with female. This finding suggests that strong gender norms on childcare and household work still remain in Korean society. The influence of the socio-demographic factors such as perceptions and attitudes are very limited. For women, not only the un-explanatory factors but also explanatory factors affect the increase in the time spend on household work. However, un-explanatory factors are a strong driving force for increases in time spent on childcare for women. Increases in time spent on childcare for men were found mostly from those who had spent some time on childcare. Most women decreased time on household work. But for the childcare women who spend more time on childcare are more likely to increase the time than women who spend less tim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mounts on time spend on childcare and household work have changed since the government expanded family policies. The changes in time for household of men and women work reflect the gender inequality in household work decreased. Increases on time spend on childcare for men are positive singes because it reflects more husbands share childcare with wives. However, increase in the time on childcare for female indicates the traditional role of women in childacare are still emphasized in Korean society and the burdens are remains. In order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men in household work and childcare the better and safe employment should be provided for men. The burden of childcare on parents need to be relived by providing the relevant supports from public sides.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1

제2장 저출산 시대에서의 자녀 양육15
제1절 유럽 국가의 출산율 동향 16
제2절 프랑스와 북구 유럽 국가 사례 30
제3절 독일과 이탈리아 사례 50

제3장 자녀 양육 시간에 대한 선행 연구59
제1절 이론적인 배경 59
제2절 외국의 선행 연구 결과 63
제3절 국내 선행 연구 결과 88

제4장 국내 가사 노동 및 자녀 돌봄 시간 변화 분석 99
제1절 분석 개요 99
제2절 기술 분석 102
제3절 연도별 변화 요인 분해 분석 123
제4절 시간 사용 분포별 요인 분해 분석 133

제5장 결론 155
제1절 연구 결과의 종합 155
제2절 향후 정책 방향 158

참고문헌163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4-22-6-1
ISBN
978-89-6827-182-3
KIHASA 주제 분류
사회서비스 > 아동복지
인구와 가족 > 저출산대응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3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