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고용⋅복지 친화적 재정지출 정책 연구 = On the Effects of Fiscal Expenditure on Employment and Welfare: A CGE Analysis

제목
고용⋅복지 친화적 재정지출 정책 연구 = On the Effects of Fiscal Expenditure on Employment and Welfare: A CGE Analysis
저자

남상호 ; 이철선 ; 문석웅 ; 권소일

키워드
연산가능 일반균형 모형 ; 사회회계행렬 ; 고용파급 효과 ; 가계복지 ; 가계부채
발행연도
2014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본 연구에서는 호주방식의 연산가능 일반균형 (CGE) 모형을 이용하여 분야별 재정지출의 고용 및 복지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우선 고용에 미치는 효과는 ‘사회복지’ 분야가 가장 크고, ‘공공행정 및 국방’이 그 다음, 그리고 ‘교육’, ‘보건·의료’의 순서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복지에 미치는 효과는 역시 사회복지 지출이 가장 크고, 그 다음으로 ‘보건·의료’, ‘교육’, ‘공공행정 및 국방’ 분야 순서로 나타났다.
지금까지 주로 사용되었던 부분균형적 접근법의 한계를 넘어서 일반균형적 관점에서 재정지출의 효과를 비교·분석할 수 있게 되므로 앞으로 재정정책의 효과성을 제고하고 분석결과에 대한 신뢰를 쌓아 가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In the past several decades, fiscal policy played a key role for the evolution of the Korean economy. But, in the late 1990s, the unexpected financial crisis changed economic and social environment. Low economic growth is expected to continue and increasing desire for welfare expenditures becomes an important social issue. While experiencing unprecedented rapid aging and persistently low fertility rate, the future of the Korean economy is not that promising.
In this report, the effect of fiscal expenditure on employment and welfare is investigat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in social and economic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role of fiscal policy. For this purpose, a version of ORANI-G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CGE) model is employed. CGE is a powerful tool in analyzing the impact of shocks in a general equilibrium setting.
The four type government expenditures are analyzed in this report: public administration and national defense, medical expenditure, educational expenditure, and social welfare expenditure. According to the results, social welfare expenditure has the largest impact in employment, public administration and national defense is the second, while medical expenditure has the smallest employment effect. This result is due to the nature of medical industry that it is more capital intensive than other industries considered.
Regarding welfare effect, social welfare expenditure has the largest effects in household utility. Medical expenditure is the second, and public administration and national defense has the smallest welfare effect.
In recent days, household debts become a big problem in the stability of the household sector. According to the effects of household debt increase, higher income groups have relatively more income and income re-distribution effect is getting worse. In order to re-activate real-estate and construction industry, the government must derive real investment from each industry.
In the subsequent study, some efforts should be exercised to overcome the following criticisms. First, we need to compile current database for the more realistic policy simulation. Second, financing method for the public expenditure is important and studies must be undertaken. Third, detailed investigation on the heterogeneity in household might be necessary so that between group effects can be considered in the analysis.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17
제1절 연구의 배경과 목적 17
제2절 연구의 방법과 구성 19

제2장 데이터베이스와 분석 모형 25
제1절 데이터베이스의 구축 25
제2절 CGE 모형의 구조 34

제3장 재정지출이 고용 및 복지에 미치는 영향 분석 51
제1절 개요 51
제2절 선행연구의 소개 52
제3절 분석 결과 57
제4절 소결 77

제4장 가계부채 증가가 고용 및 복지에 미치는 영향 분석 81
제1절 개요 81
제2절 선행연구의 소개 85
제3절 모형의 구조와 데이터베이스 88
제4절 분석 결과 94
제5절 소결 125

제5장 요약 및 시사점 133
제1절 연구 결과의 요약 133
제2절 정책적 시사점 135
제3절 향후의 연구 방향 136

참고문헌 139

부 록 145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4-11
ISBN
978-89-6827-161-8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사회보장재정
소득보장 > 노동연계복지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