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집합적 효능과 건강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 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Collective Efficacy and Health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임훈민
dc.contributor.author김중백
dc.date.accessioned2015-01-16T01:47:13Z
dc.date.available2015-01-16T01:47:13Z
dc.date.issued2014-12-30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3263
dc.description.abstract건강분야의 많은 연구에서 개인의 건강을 설명하는 요인으로 제시한 사회경제적, 인구학적 특성과 생애경험 등은 개인이 속한 환경의 맥락적인 효과를 고려하지 못 한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사회 해체이론은 지역의 사회경제적, 구조적 특성들이 사회통합요인에 영향을 미쳐 개인의 건강과 안녕(well-being)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생태학적 관점에 주목한다. 본 논문에서는 사회 해체이론의 관점을 바탕으로 지역사회의 공동 이익을 위하여 개입하려는 사람들의 의지와 상호 신뢰의 결합을 의미하는 집합적 효능 개념이 개인의 우울증상과 주관적 건강평가로 측정되는 건강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살펴본다. 하지만 횡단면 자료만으로는 건강이 좋은 사람들이 집합적 효능이 높은 지역에 거주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에 집합적 효능과 건강간의 역인과관계를 동시에 분석한다. 2010년 한국일반사회조사(KGSS)를 이용하여 집합적 효능이 개인의 우울증상과 주관적 건강평가의 관계를 인과관계와 역인과관계를 고려하여 분석한 결과 집합적 효능이 개인의 건강에 기여하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의 인구사회적 특성과 건강과 관련된 변수를 통제한 상황에서도 집합적 효능은 개인의 우울증상을 낮추고 주관적 건강평가를 높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인과관계의 측면에서 우울증상이 낮으며 주관적 건강평가가 높을 수록 집합적 효능이 높은 지역에 거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집합적 효능과 건강이 상호관계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밝히는 동시에 생활환경에 대한 개인들의 평가와 인지 정도로 측정된 집합적 효능 개념이 우리 사회의 건강 격차를 설명하는 요인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제시한다.
dc.description.abstractPrevious studies of health inequality has rarely paid attention to social contexts in relation to health distribution. Social disorganization theory focuses upon what neighborhood social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are associated with collective social integration and health disparity as a result. This article examines whether collective efficacy is associated with health status using KGSS(Korea General Social Survey) data. We investigate not only causal relationship but also revers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llective efficacy and health because we cannot exclude the selection mechanism that healthier people reside in neighborhoods with high collective efficacy while employing cross-sectional data. Our findings document both causal and reverse-causal relationships with adjustment for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background variables; (1) collective efficacy is associated with better health , and (2) people with better health status is more likely to report higher levels of collective efficacy.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at collective efficacy should be considered a critical factor to account for health inequality in Korea cas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연구의 필요성 Ⅱ. 선행연구 검토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dc.format.extent26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집합적 효능과 건강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dc.title.alternativeReciprocal Relationships between Collective Efficacy and Health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집합효능
dc.subject.keyword건강
dc.subject.keyword우울
dc.subject.keyword주관적 건강평가
dc.subject.keyword역인과관계
dc.subject.keywordCollective Efficacy
dc.subject.keywordHealth
dc.subject.keywordSelf-rated Health
dc.subject.keywordDepression
dc.subject.keywordReverse-causalRelationship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4
dc.citation.number4
dc.citation.startPage441
dc.citation.endPage466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4호, pp.441-466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4 No.4, pp.441-466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