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노년기 노동시장 참여변화 궤적과 삶의 만족도 = The Association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Employment Transition Trajectory in Korean Older Adult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백옥미
dc.date.accessioned2015-01-16T01:35:10Z
dc.date.available2015-01-16T01:35:10Z
dc.date.issued2014-12-30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325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노년기 노동시장 참여변화의 궤적에 따라 삶의 만족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종단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고령화패널 1~3차년도(2006, 2008, 2010) 자료를 활용, 1~3차년도 조사당시 노동 지속여부를 측정, 전 조사시점 기간동안 일을 하고 있다고 응답한 노인그룹과 중단한 그룹, 새롭게 시작한 그룹, 간헐적으로 일을 하고 있는 그룹 및 일을 전혀 하지 않는 그룹등 5개 그룹으로 구분하여 일반화추정방정식모형(Generalized Estimation Equation; GEE)을 적용해 생활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노년기 노동에 지속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그룹은 그렇지 않은 그룹에 비해 삶의 만족도가 높았으며,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제반 요인들을 통제한 상태에서 노동 참여궤적은 노년기 삶의 만족도 결과와 연관된다는 점이 드러났다. 노년기 노동 참여의 궤적과 심리적 복지 결과를 분석한 본 연구는 상대적으로 연구가 미진했던 노년층의 노동시장 참여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dc.description.abstract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ition in employment status and psychological health outcomes, life satisfaction among older adults in Korea. This study utilized the 3 waves (2006, 2008, and 2010) of a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from the Korea Labor Institute including 4,170 older adults aged 60-105. For the purpose of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categorized employment transition groups through 3 waves into 5 categories: a continuous employment group, a continuous nonemployment group, a discrete employment group, an employment-to-nonemployment group, and a nonemplyment-to-employment group. The generalized estimation equation (GEE) modeling was utilized for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transition group membership and life satisfaction outcomes. The results showed that engaging in continuous employment status or in employment status later in 3 wave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higher life satisfaction with various controls compared to it of the nonemployment group. More research is needed to explore the mechanism behind older people"s trajectory in employment engage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문제제기 II.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토의 참고문헌
dc.format.extent23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노년기 노동시장 참여변화 궤적과 삶의 만족도
dc.title.alternativeThe Association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Employment Transition Trajectory in Korean Older Adult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노동 시장 참여
dc.subject.keyword삶의 만족도
dc.subject.keyword일반화추정방정식모형
dc.subject.keyword노년기
dc.subject.keywordEmployment in Older Adults
dc.subject.keywordEmployment Transition Trajectory
dc.subject.keywordGeneralized Estimation Equation
dc.subject.keywordLife Satisfaction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4
dc.citation.number4
dc.citation.startPage241
dc.citation.endPage263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4호, pp.241-263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4 No.4, pp.241-263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4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