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지역사회 영유아 지원서비스가 어린이집 충족률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hildcare Services of Community on Utilization Ratio of Daycare Center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유재언
dc.date.accessioned2015-01-16T01:24:13Z
dc.date.available2015-01-16T01:24:13Z
dc.date.issued2014-12-30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325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시군구의 영유아 지원서비스 및 어린이집 일반특성에 따라 어린이집 충족률이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시군구 영유아 지원서비스는 2013년의 시군구별 통계지표를 사용하여 어린이집, 유치원, 문화기반시설 공급정도와 양육수당예산을 변수로 만들었다. 어린이집 일반특성은 어린이집정보공시포털의 2014년 1월 어린이집일람현황 자료를 활용하여 정원, 운영기간, 취약ㆍ특수보육 아동비율, 공급주체 유형, 지원 여부, 위탁운영 여부, 평가인증 여부, 보육아동 연령대, 특수보육 실시여부를 변수로 만들었다. 시군구 영유아 지원서비스와 어린이집 일반특성이 어린이집 충족률에 미치는 영향을 다층모형으로 분석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린이집 공급정도, 양육수당예산은 어린이집 충족률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유치원과 문화기반시설은 어린이집 충족률과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다층모형에 포함된 모든 어린이집 일반특성들이 어린이집 충족률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영유아가정의 어린이집 이용이 개별 어린이집 일반특성과 더불어 지역사회의 다양한 지원서비스 수준에 의해서도 달라진다는걸 시사한다. 그러므로 시군구 지자체가 적정 보육 수급을 판단하고 어린이집 인가제한을 할 때는 시군구 평균 어린이집 충족률 외에도 어린이집, 유치원, 문화기반시설 공급정도 및 양육수당예산을 동시에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childcare services of community on the utilization ratio of daycare centers. Data for present study were drawn from multiple sources. The information of 43,909 daycare centers were drawn from the i-sarang Childcare Information Portal site (http://info.childcare.go.kr/) in January 2014. Community level indicators were drawn from the local statistics of 230 Si, Gun, and Gu in 2013. Childcare services of community were the number of daycare centers per every 100 children aged 0 to 4 years, the number of kindergarten per every 100 children aged 0 to 4 years, annual budget of home care allowance per every 100 children aged 0 to 4 years, the number of cultural facilities per every 100 children aged 0 to 4 years. Multi-level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utilization ratio of daycare centers by childcare services of community and characteristics of daycare center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utilization ratio of daycare centers was positively related with the number of daycare centers per every 100 children aged 0 to 4 years and annual budget of home care allowance per every 100 children aged 0 to 4 years. In contrast, the utilization ratio of daycare centers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number of kindergarten per every 100 children aged 0 to 4 year and the number of cultural facilities per every 100 children aged 0 to 4 year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문제제기 Ⅱ. 이론적 분석틀 및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dc.format.extent30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지역사회 영유아 지원서비스가 어린이집 충족률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The Effect of Childcare Services of Community on Utilization Ratio of Daycare Center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영유아 지원 서비스
dc.subject.keyword어린이집
dc.subject.keyword유치원
dc.subject.keyword양육수당
dc.subject.keyword빅데이터
dc.subject.keywordChildcare Service
dc.subject.keywordDaycare Center
dc.subject.keywordKindergarten
dc.subject.keywordHome Care Allowance
dc.subject.keywordBig Data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4
dc.citation.number4
dc.citation.startPage123
dc.citation.endPage152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4호, pp.123-152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4 No.4, pp.123-152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3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