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반연령주의적 문화 실천으로서의 노년 연구: 고령화시대의 노년 연구에 관한 제언 = Gerontological Research As Anti-Ageist Cultural Practice: A Proposal for Gerontological Studies In The Ageing Era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정진웅
dc.date.accessioned2014-10-17T02:18:58Z
dc.date.available2014-10-17T02:18:58Z
dc.date.issued2014-09-30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2946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고령화 시대에 요구되는 노년 연구의 화두로 맥락화와 경청이라는 개념을 제시하고, 노년을 행위와 서사의 주체로 세우는 반연령주의적 노년 연구의 방향성을 제안한다. 한국사회의 연령주의적 지배문화와 미디어는 노년을 문화적으로 이질적인 부정적 타자로 간주하며, 노년연구의 지배적 흐름도 이런 경향성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노년의 문제, 노년기 적응, 혹은 만족도에 집중하는 노년 연구의 경향성은 현실에서 타자화되어 있는 노년이라는 범주의 부정적 이미지를 복제하고 강화시킬 위험이 있다. 이런 상황에서 반연령주의적 문화 실천으로서의 노년 연구가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는 노년의 삶의 구체적 맥락에 작동하는 다양한 이데올로기와 구조적 힘들이 어떻게 노년의 위치성을 구성하고 노년의 경험을 채색하는지를 살피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노년 스스로는 행위와 서사의 주체로서 그런 현실에 어떻게 대응하는지를 살피고 또 어떠한 서사를 구성하는지를 경청하는 연구가 요구된다. 역설적으로 노년 연구의 궁극적 책무는 연령주의 이데올로기에 맞서 나이란 그 자체로는 거의 무의미한 변인이라는 사실을 드러냄으로써 문화적으로 타자화된 노년이라는 범주와 노년학의 학문적 경계자체를 완화시키는 것이다. 반연령주의적 문화 실천으로서의 노년 연구는 연구자의 시선 자체가 한국사회의 연령주의적 담론을 무의식적으로 답습하고 있지는 않은지 부단히 성찰할 필요가 있다.
dc.description.abstractIntroducing the notion of contextualization and of attentive listening, this article proposes that anti-ageist gerontological research in the ageing era needs to endorse old people as the subjects of action and narrative. The dominant ageist culture and media of Korean society regard old people as culturally alien and negative other, and the mainstream gerontological research is not free from this tendency. The current trend of gerontological research to focus on the problems, adjustment, and life-satisfaction of old people risks the danger of reinforcing the already negative image of old people. Gerontological research as anti-ageist cultural practice is required in these circumstances. In order to achieve that goal, what needs to be examined is how multiple ideologies and structural forces forge old people"s positionality in concrete contexts of everyday life, and how old people respond to the given situation as the subjects of action and narrative. Ironically, the ultimate task of gerontological studies is to loosen the culturally otherized boundary of old age and the gerontology"s academic boundary itself by exposing the barrenness of old age by itself as a variable. Research on old age as anti-ageist cultural practice needs to examine constantly if the perspective of research itself is unconsciously reproducing the ageist discourse of Korean socie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들어가는 글 Ⅱ. 한국사회 노년담론의 연령주의와 노년 연구 Ⅲ. 반연령주의적 문화 실천으로서의 노년 연구 Ⅳ. 나가며: 노년 주체의 수립을 위한 노년 연구 참고문헌
dc.format.extent25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반연령주의적 문화 실천으로서의 노년 연구: 고령화시대의 노년 연구에 관한 제언
dc.title.alternativeGerontological Research As Anti-Ageist Cultural Practice: A Proposal for Gerontological Studies In The Ageing Era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노년
dc.subject.keyword연령주의
dc.subject.keyword타자화
dc.subject.keyword경청
dc.subject.keyword맥락화
dc.subject.keywordOld Age
dc.subject.keywordAgeism
dc.subject.keywordOtherization
dc.subject.keywordAttentive Listening
dc.subject.keywordContexualization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4
dc.citation.number3
dc.citation.startPage452
dc.citation.endPage476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3호, pp.452-476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4 No.3, pp.452-476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9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