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경제적 능력과 삶의 질: 구조방정식 다중집단분석을 활용한 정신건강요인의 매개효과 검증 = The Study of Quality of Life between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s Economic Capability: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 Health Factor via Structural Equation Model Multi-Group Analysi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조용운
dc.contributor.author조경훈
dc.date.accessioned2014-07-18T06:16:49Z
dc.date.available2014-07-18T06:16:49Z
dc.date.issued2014-06-30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2472
dc.description.abstract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누구에게나 경제생활의 안정은 정신적 건강상태와 더불어 삶의 질과 그것의 만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이론적 논의를 경험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독립변수인 경제적 능력과 종속변수인 삶의 질의 인과관계(causal relationship)를 파악한다. 더불어, 두 집단 ?장애인과 비장애인 - 의 상이성에 착안하여 구조방정식 다중집단방법론을 통해 장애인과 비장애인의 정신건강요인(우울증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mediating effect)를 검증하였다. 이 연구의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기여이다. 연구는 장애인 및 비장애인의 경제적 능력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이 과정에서 정신건강요인의 매개적 역할을 구현하였다는 측면에서 특기할 만하다. 둘째, 정책적 함의를 지닌다. 연구결과는 분석대상인 장애인?비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소득보장정책의 일환으로 자산을 고려한 제도의 필요성을 제시한다. 자산형성제도는 비장애인은 물론이고, 장애를 가진 개인의 생존 욕구를 넘어서 개인에게 자율성을 부여할 수 있다는 점과 사회적 지위를 제고할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다는 측면에서 장애인의 소득보장정책의 수단으로 기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dc.description.abstractEconomic capability matters for quality of life. This article seek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 health factor(depression and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capability(income and asset) and life satisfaction in South Korea. We used 7th panel data sets (2011)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urvey (KoWEPS), which were collected from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Main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capability and life satisfaction among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2) The mediation effect of mental health facto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capability and quality of life in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Through this proces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economic capability of disabled or non-disabled peopl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ir quality of life. Second, the findings confirmed that how economic capability influences quality of life through mental factor as a mediator. Results suggest that effective intervention strengthening mental health among people should be introduced. Futhermore, we proposed that government initiate the asset accumulation program for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Ⅱ. 이론적 검토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dc.format.extent34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경제적 능력과 삶의 질: 구조방정식 다중집단분석을 활용한 정신건강요인의 매개효과 검증
dc.title.alternativeThe Study of Quality of Life between 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s Economic Capability: The Mediating Effect of Mental Health Factor via Structural Equation Model Multi-Group Analysi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장애인과 비장애인의 경제적 능력
dc.subject.keyword삶의 질
dc.subject.keyword정신건강요인
dc.subject.keyword구조방정식 다중집단분석
dc.subject.keywordDisabled and Non-disabled People’s Economic Capability
dc.subject.keywordQuality of Life
dc.subject.keywordMental Health Factor
dc.subject.keywordStructural Equation Model Multi-Group Analysis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4
dc.citation.number2
dc.citation.startPage276
dc.citation.endPage309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2호, pp.276-309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4 No.2, pp.276-309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7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