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청소년의 여가문화활동이 자기조절능력, 학업성취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Adolescents’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on Self-regulation, Academic Achievements, and Self-esteem: Focusing on Fathers’ Educational Level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차동혁
dc.contributor.author옥선화
dc.date.accessioned2014-04-16T06:43:58Z
dc.date.available2014-04-16T06:43:58Z
dc.date.issued2014-03-0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1453
dc.description.abstract주5일 근무제의 전면 시행 및 여가문화의 확산과 함께 청소년의 여가문화활동의 중요성이 제기되면서 이에 대한 지원이 가족뿐만 아니라 학교와 지역사회, 정부의 정책 단위에서도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청소년의 여가문화활동이 청소년의 교양을 함양하고 균형 있는 성장을 도모할 것을 목적으로 하는 문화자본으로 인식하고, 여가문화활동이 실제로 청소년의 균형 있는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2012년에 실시한 3차 한국아동ㆍ청소년패널조사 자료 중 중학교 3학년 1,673명을 대상으로, 여가문화활동이 자기조절능력과 학업성취도,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였고, 이 관계가 부의 학력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의 여가문화활동은 자기조절능력과 학업성취도, 자아존중감에 모두 유의한 정적 직접효과를 가졌으며, 자기조절능력을 매개로 학업성취도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정적인 간접효과도 유의하였다. 이러한 청소년 여가문화활동의 영향력에 대한 부의 학력의 조절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는 부모의 문화자본에 관계 없이 청소년의 여가문화활동이 체화된 문화자본으로 기능하여 청소년의 학업 성취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유지된다는 의미이며, 청소년의 균형 있는 성장을 위하여 사회 계층에 관계없이 청소년이 여가문화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주어야 함을 시사한다.
dc.description.abstractAlong with the enforcement of the five-day work week, adolescents’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have been recognized so important that families, schools, local communities, and the government are trying to provide support for these activities. In this research, we regarded adolescents’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as a kind of embodied cultural capital which have the intention to educate them as a person of culture with balanced human development. With this regard, we examined whether or not adolescents’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had an effect on their balanced growth. We chose 1,673 middle school seniors from the third wave of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conducted in 2012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n, we analyzed the effects of adolescents’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as embodied cultural capital on their self-regulation, academic achievements, and self-esteem. The results showed that adolescents’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had not merely significant positive direct effects on all the three latent variables but significant positive indirect effects on the academic achievements and the self-esteem mediated by the self-regulation. The fathers’ educational level did not moderate these influences of adolescents’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This means that these influences can be maintained equally, irrespective of parents’ cultural capital. It also suggests that families, schools, local communities, and the government all should highly encourage adolescents to participate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regardless of their social class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문제 Ⅳ. 연구방법 Ⅴ. 연구결과 Ⅵ.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dc.format.extent26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청소년의 여가문화활동이 자기조절능력, 학업성취도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dc.title.alternativeThe Effects of Adolescents’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on Self-regulation, Academic Achievements, and Self-esteem: Focusing on Fathers’ Educational Level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여가문화활동
dc.subject.keyword청소년 활동
dc.subject.keyword자기조절능력
dc.subject.keyword학업성취도
dc.subject.keyword자아존중감
dc.subject.keyword문화자본
dc.subject.keyword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dc.subject.keywordAdolescents’ Activities
dc.subject.keywordSelf-regulation
dc.subject.keywordAcademic Achievements
dc.subject.keywordSelf-esteem
dc.subject.keywordCultural Capital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4
dc.citation.number1
dc.citation.startPage353
dc.citation.endPage378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1호, pp.353-378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4 No.1, pp.353-378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2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