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임신 전 출산건강 관리 실태 및 지원 방안 = The Status of Preconceptional Care and Policy Recommendation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이상림
dc.contributor.author박지연
dc.contributor.author안이수
dc.contributor.author김근영
dc.date.accessioned2014-04-03T07:06:51Z
dc.date.available2014-04-03T07:06:51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isbn978-89-6827-114-4
dc.identifier.isbn978-89-6827-063-5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1371
dc.description.abstract우리사회의 지속되는 저출산 현상으로 인한 출생아수의 감소 속에서 건강한 아이의 출산에 대한 사회적·정책적 관심은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저출산아 및 조산아 등의 출산율은 계속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고연령 산모뿐만 아니라 모든 연령의 산모들에게서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우리사회 여성들의 전반적인 출산건강이 악화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 연구는 여성들의 출산건강 증진을 위한 방안을 찾고자, 임신 이전의 출산건강관리에 주목한다. 지금까지의 산모와 신생아 및 영유아 건강을 위한 정책들은 출산 이후의 사후관리적 성격이 강하다고 할 수 있는데, 인구의 자질 향상이나 정책의 효율성 측면에서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 연구는 아직까지 우리사회에서는 생소한 ‘임신 전 출산건강 관리(preconceptional care)의 측면에서 우리사회의 임신 전 출산건강 관리 실태를 분석하고, 그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결과들은 주산기뿐만 아니라, 임신 이전 성인기 및 청소년기를 포함하는 전생애적 관점에서 다양한 영역의 출산건강 증진을 위한 환경 조성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더불어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건강 인식과 지식 수준을 높이는 교육 및 홍보 정책과,출산 건강증진 행동에 대한 장애요인을 해소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 방안을 제안한다.
dc.description.abstractPreconception health, health behavior, and preparations prior to becoming pregnant, play important roles in determining the outcomes for babies and mothers. Preventive care to improve reproductive health and avoid birth risk factors, optimizes the chances for a healthy mother and baby at relatively small cost. Korean society, however, has focused on perinatal and postnatal care based on medical-centered view.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the status of preconceptional care at individual and policy levels, and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healthy pregnancy preparing behaviors in Korea. For the purposes, we conducted a survey of 1,549 women who have childbirth experience in current three years, and 20 depth interviews with mothers who experienced pregnancy in current three years and experts from various areas including obstetrics, education, and public health. The findings show that low social economic status of mother and father, unplanned pregnancy, pregnancy at ages under early twenties, birth experience, masculine culture at workplace, infertility clinic, and dependency on internet as a pregnancy health information source have negative influences on preconceptional care. These are morel likely to decrease the level of pregnancy preparing behavior or increase exposures to risk factors. The results demonstrate that knowledge and perception on healthy pregnancy preparing interact giving positive effects each other, and these encourage pre- and inter-conceptional care behaviors. This emphasizes the necessity of preconceptional care policy to advance public knowledge and perception on healthy pregnancy and remove social and economic obstacles to preconceptional care behaviors. This study provides various policy recommendations including improvement of sex and health education for adolescents and adults, public relations on preconceptional care, extended application of health insurance for preconceptional care and pregnancy consulting, establishment of network between school and local gynecologic hospital, gynecologic hospital visits voucher for adolescents, and so on. The study suggests that understandings on preconceptional care of females and even males, as well as close collaboration between medical and non-medical support sectors, are critical factors in a strategy to improve preconceptional car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11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3 제2절 연구 주요 내용 및 연구 방법 16 제2장 출산결과 및 임신 전 관리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27 제1절 출산결과 결정 요인 29 제2절 생애적 관점의 접근(life span approach) 49 제3장 출산결과 동향 분석 55 제1절 국내 출산결과 동향 57 제2절 이상 출산결과 위험 분석 65 제3절 소결 79 제4장 출산건강 증진을 위한 정책과 사업 85 제1절 임신 및 출산 건강 관련 법률 87 제2절 중앙정부의 출산건강 지원 정책 97 제3절 난임부부 지원 사업 105 제4절 지방 정부의 출산건강 지원 정책 111 제5장 임신 전 출산건강 관리 실태 119 제1절 분석 자료 및 내용 121 제2절 출산결과와 위험요인 노출 123 제3절 임신준비 지식과 임신 준비 행동 144 제4절 임신 간 출산건강 관리(interconceptional care) 179 제6장 임신 전 출산건강 관리 지원 방안 185 제1절 임신 전 출산건강 관리 지원 정책 방향 187 제2절 임신 전 출산건강 관리 지원 방안 191 참고문헌 205 부록: 임신준비 및 출산에 대한 조사표 215
dc.formatapplication/pdf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임신 전 출산건강 관리 실태 및 지원 방안
dc.title.alternativeThe Status of Preconceptional Care and Policy Recommendations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임신 전 출산건강 관리
dc.subject.keyword계획임신
dc.subject.keyword임신건강 지식
dc.subject.keyword임신준비 행동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이상림
dc.type.other협동연구
dc.identifier.localId협동연구 2013-02-02
dc.subject.kihasa보건의료 서비스
dc.subject.kihasa저출산대응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보건의료 서비스
인구와 가족 > 저출산대응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3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