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취약‧위기가족 및 다문화가족의 예방맞춤형 복지체계 구축 및 통합사례관리 연구(4차년도) = Establishing a Preventive Welfare System and Integrated Case Management Program for Vulnerable Families, Families in Cirsis, and Multicultural Families: Fourth Year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정은희
dc.contributor.author박수지
dc.contributor.author김보영
dc.contributor.author안혜영
dc.contributor.author이기연
dc.contributor.author정익중
dc.contributor.author김효진
dc.date.accessioned2014-03-27T05:51:26Z
dc.date.available2014-03-27T05:51:26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isbn978-89-6827-093-2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1313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전문가인식조사를 통해 사례관리의 개념을 정리 및 체계화하였다. 또한 희망복지지원단 중심의 공공역역의 사례관리와 아동·청소년대상의 사례관리, 노인·장애인 대상 사례관리, 성인대상 사례관리 영역별 사업의 실태를 살펴보고 영역별 사례관리사업의 효율화를 위해 영역별 통합적 사례관리 운영을 위한 방안들과 전제조건들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례관리사업 영역별 사업주체간 역할분담을 방안 제시를 통해 지역사회중심의 효율적 통합사례관리 체계를 구축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며, 사례관리 정책의 실효성 및 수혜자의 정책 체감도를 제고할 것으로 기대한다.
dc.description.abstractVulnerable families or individual have multidimensional disadvantages on socioeconomic and psychological domains. Integrated case management has been suggested as an alternative way to increase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social services by serving a package of services for people who have a variety of needs. There are different types of community based case management programs and service providers in public and private sectors such as ‘Heemangbockji Giwondan’ from public sector, ‘Dream Starts’ and ‘Priority for Education Welfare Services’ for vulnerable children, ‘Empowering Single Parent Vulnerable Families Services’, ‘Hope Ribbon Project’, ‘pilot services of Case Management for the Disable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different types of case management programs, Role conflicts among case management providers have been reported in the front line worker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olicy suggestions to adjust the role what case management providers take respectfully in a commun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13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구성 15 제3절 연구의 기대효과 18 제2장 이론적 배경 21 제1절 기관간 연계의 기반: 이론적 논의 22 제2절 공공과 민간부문의 사례관리사업 역할분담 26 제3장 사례관리에 대한 전문가 인식조사 33 제1절 사례관리 개념에 대한 이해 33 제2절 사례관리의 구성요소와 관점 43 제3절 현장전문가의 사례관리 인식에 대한 고찰 52 제4절 현장 전문가의 인식 분석결과 58 제5절 사례관리의 개념적 구분 80 제4장 공공부분의 사례관리 실태 89 제1절 공공 통합사례관리 현황 89 제2절 공공부문 사례관리의 방향 126 제3절 공공의 통합적 사례관리 과제 159 제5장 아동청소년대상 사례관리 실태 163 제1절 아동청소년대상 사례관리 현황 163 제2절 아동청소년대상 사례관리의 방향 303 제3절 아동청소년대상 통합적 사례관리 과제 320 제6장 노인·장애인 대상 사례관리 실태 335 제1절 노인·장애인대상 사례관리 현황 335 제2절 노인·장애인대상 사례관리의 방향 362 제3절 노인·장애인대상 통합적 사례관리 과제 374 제7장 성인가구대상 사례관리 실태 381 제1절 성인가구대상 사례관리 현황 381 제2절 성인가구대상 통합적 사례관리의 방향 499 제3절 성인가구대상 통합적 사례관리 과제 508 제8장 결론 및 제언 521 참고문헌 527 부록 537 전문가 명단 537 취약가정역량강화사업 평가지표 541
dc.formattext/plain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취약‧위기가족 및 다문화가족의 예방맞춤형 복지체계 구축 및 통합사례관리 연구(4차년도)
dc.title.alternativeEstablishing a Preventive Welfare System and Integrated Case Management Program for Vulnerable Families, Families in Cirsis, and Multicultural Families: Fourth Year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취약위기가족
dc.subject.keyword예방맞춤형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정은희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13-34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13-34
dc.subject.kihasa가족변화
KIHASA 주제 분류
인구와 가족 > 가족변화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3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