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지방자치단체의 건강영향평가 및 지식포털운영 = Health Impact Assessment on Local Government and Operation of Health Impact Assessment Data Base

제목
지방자치단체의 건강영향평가 및 지식포털운영 = Health Impact Assessment on Local Government and Operation of Health Impact Assessment Data Base
저자

서미경 ; 여지영 ; 강은정

키워드
건강영향평가 ; 지자체 건강영향평가 ; 건강영향평가 지식포털
발행연도
2013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 지자체 단위에서 실시되는 주요 시책들에 대한 건강영향평가를 통해 도시계획, 환경, 주거, 교통 등 다양한 정책들을 선정하여 각 정책에 대한 긍정적 건강영향을 강화하고 부정적 건강영향을 예방하거나 최소화 하는 대안을 마련함.
○ 중앙정부부처에서 지자체 보건사업 등의 평가시 건강영향평가 실시 여부를 주요 평가항목으로 고려 할 수 있도록 중앙부처 공무원의 협조를 얻어, 보다 많은 지자체에서 건강영향평가를 실시할 수 있도록 사업 환경을 조성함.
○ 건강영향평가 지식포털을 운영하여 건강영향평가방법 및 도구, 건강영향평가의 근거, 건강결정요인 등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우리나라에서의 건강영향평가사업의 근거자료를 확보함.

We intend to evaluate the pilot study of health impact analysis (HIA) that has been carried out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IHASA) since 2008 unde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national platform for HIA, and hope to prepare the basis for incorporating the active "pro-health policy program" on the basis of such evaluation.
KIHASA has carried out the basic study and pilot study of HIA under the two goals of (1) strengthening the capability of governments at various levels for HIA and (2) helping implementing the HIA programs. In this research report, we have evaluated the HIA programs of local governments, the national HIA program, as well as the portal for HIA that have been implemented so far.
Such evaluations present the following important implications that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before executing the comprehensive HIA programs in the future:
(1)It is necessary to legalize the comprehensive HIA programs.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measures for providing incentives for local governments that pursue HIA.
(2)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basis for cooperation with relevant administrators in charge of HIA program or related policies and to use HIA as a tool for resolving conflicts with local residents.
(3)It is necessary to secure sufficient experts in HIA and to educate them systematically and thoroughly. It is also necessary to develop and disseminate the HIA guideline that can be used by policy-makers and local administrators.
(4)It is necessary to include the evaluation standard for local-unit totals in the current evaluation standard for HIA program units. It is also necessary to improve the analytical instruments of HIA.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건강영향평가 사후평가 개념 및 사례 고찰 12
제3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5
제2장 환경영향평가에서의 건강영향평가 31
제1절 환경영향평가에서의 건강영향평가제도 개요 31
제2절 환경영향평가 내 건강영향평가 시행 현황 분석 43
제3절 환경영향평가 내 건강영향평가 사례 분석 48
제4절 결론 및 시사점 58
제3장 지방자치단체 건강영향평가사업 사후평가 63
제1절 지방자치단체건강영향평가 연혁 및 사후평가방법 63
제2절 지방자치단체건강영향평가에 대한 사후평가결과 67
제3절 결론 및 시사점 177
제4장 중앙단위 건강영향평가 사업에 대한 사후평가 187
제1절 중앙단위 건강영향평가 개요 및 사후평가방법 187
제2절 중앙단위 건강영향평가 사후평가결과 195
제3절 결론 및 시사점 203
제5장 건강영향평가 지식포털 평가 207
제1절 건강영향평가 지식포털 구축 목적 및 구성 207
제2절 건강영향평가 지식포털 평가방법 210
제3절 건강영향평가 지식포털 평가결과 214
제4절 건강영향평가 지식포털 개선을 위한 향후 추진 방향 249
제6장 요약 및 시사점 255
제1절 요약 255
제2절 시사점 260
참고문헌 265
부 록 269
부록 1. 건강영향평가DB 설문지 269
부록 2. 환경영향평가 내 건강영향평가 보고서 요약 274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3-32-1
ISBN
978-89-6827-090-1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지역사회보장
보건의료 > 건강증진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