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저출산·고령사회 동태적 분석을 위한 지역추적조사 -사례지역을 중심으로 = Community tracking study for the dynamic analysis of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Focusing on selected areas

제목
저출산·고령사회 동태적 분석을 위한 지역추적조사 -사례지역을 중심으로 = Community tracking study for the dynamic analysis of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Focusing on selected areas
저자

오영희 ; 정경희 ; 이삼식 ; 이소영 ; 오신휘 ; 임지영 ; 김경래 ; 송리라

키워드
사례조사 ; 만혼화 ; 출산행태
발행연도
2013
초록
□ 우리나라는 저출산?고령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범 정부적인 대응체제를 구축하였으나, 저출산?고령화 속도를 완화하기는 어려운 실정임.
□ 출산/혼인/고령화 현상에 대한 동태적인 접근을 통해 다각적으로 관련 변인들의 유기적 관계를 규명할 필요가 있음.
□ 따라서 본 연구는 저출산?고령화 현상에 대한 동태적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 질적 연구를 통하여 관련 요인을 다각적으로 분석하고자 함.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make a basic data for the dynamic analysis of low fertility and aging society and to analyze the factors related in various perspectives through qualitative methods. That is, the study is intended to build a basic data for policies enhancing fertility through providing community tracking data, which observes changes in the process of marriage, child birth, and childcare and for policies on aging through analyzing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aging.
The research methods used for dynamic analysis include literature review, survey, and analysis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sample households and communities. The survey includes total 901 households in three selected areas with approximately 300 households each. The sample population consists of 123 never-married men and women aged 20 to 49 years, 381 married women aged 15 to 49 years, and 914 persons aged 50 and over living in the sample household. With developed survey questions, interviews were conducted by trained research staffs from July 11 to Aug. 16, 2013. The year 2013 is the first year for this community tracking study. Basic survey was done in the area of aging, and basic survey and additional survey were done in the area of low fertility.
Regarding the elderly population, its general characteristics, economic status, family relationships, patterns of living, social network, health status, preparing for aging, community, and living environment were studied. Also, for the unmarried popul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age and the history of education and employment, and family relations was analyz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of socio-economic factors on late marriage. With respect to the married population, history of education, employment, and pregnancy, and family relationships were examined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pattern on child birth, and family support and community factors related to raising a child were examined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pattern of childcare.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부 기초 분석

제1장 서론 13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3
제2절 연구 방법 및 연구 내용 15
제3절 조사의 설계 17
제2장 동태적 분석을 위한 선행연구 검토 및 사례지역에 대한 이해 33
제1절 동태적 분석을 위한 선행연구 검토 33
제2절 사례지역에 대한 이해 45
제3장 사례지역 조사가구의 특성 79
제1절 조사가구의 구조적 특성 79
제2절 조사가구의 경제상황 84
제4장 중고령자의 생활실태 91
제1절 중고령자의 일반 특성 91
제2절 중고령자의 경제상황 및 경제활동 96
제3절 중고령자의 가족관계 102
제4절 중고령자의 거주형태 및 이유 114
제5절 중고령자의 사회적 관계망 117
제6절 중고령자의 건강상태 122
제7절 중고령자의 경제적 노후준비 실태 130
제8절 중고령자의 지역사회와 생활환경 135

제2부 결혼 및 출산 행태에 관한 분석

제5장 미혼인구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미혼지속기간 147
제1절 교육과 만혼화 148
제2절 직업과 만혼화 156
제3절 가족관계와 만혼화 163
제6장 기혼여성의 사회경제적 특성과 출산행태 169
제1절 임신력과 임신결과 171
제2절 사회경제적 특성과 출산 180
제3절 자녀양육 실태 187
제7장 조사결과의 요약 및 함의 195
제1절 사례지역 기초자료의 비교 분석 195
제2절 결혼 및 출산 행태에 관한 분석 결과 202
제3절 지역추적조사의 함의 및 계획 206
참고문헌 211
부록 215
부록 1. 부표 217
부록 2. 조사표 299
KIHASA 주제 분류
인구와 가족 > 저출산대응
인구와 가족 > 고령화대응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