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저출산·고령화 대응 인구 자질 향상 방안: 고령 임산부의 출산 실태와 정책 과제 = Improving the Population Quality in Low Fertility and Aging Korea: Policy Challenges for Birth Outcomes for Women of Advanced Maternal Age

제목
저출산·고령화 대응 인구 자질 향상 방안: 고령 임산부의 출산 실태와 정책 과제 = Improving the Population Quality in Low Fertility and Aging Korea: Policy Challenges for Birth Outcomes for Women of Advanced Maternal Age
저자

이소영 ; 임지영

키워드
고령 임산부 ; 저체중출생아 출산 ; 조산
발행연도
2013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저출산·고령화는 단순한 사회현상이 아닌 사회문제가 되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저출산·고령화는 상당히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 이는 인구의 양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질적인 측면이 함께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만혼화는 출산 연령 증가로 이어지고, 따라서 고령 임산부라 칭하는 만35세 이상의 임산부가 증가하고 있다. 고령 임산부의 출산결과는 비고령 임산부보다 저체중출생아 및 조산아 출산 비율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어 국가 차원의 정책이 도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고령 임산부의 부정적인 출산 결과를 줄이고 보다 효과적이고 실질적인 정책을 도출하여 고령 임산부들이 임산과 출산을 선택할 수 있는 출산 친화적인 사회적 환경의 조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mited number of studies of birth outcomes in advanced maternal age by examining: 1) if there is an association between advanced maternal age and adverse birth outcomes (low birth weight and preterm birth); 2) what are the protective factors and risk factors of birth outcomes for pregnant women aged 35 year or older ; and 3) how the “Weathering Hypothesis,” which explains the association of maternal age and birth outcomes, and “Epidemiological Paradox,” which explains the association of low socio-economic status and favorable birth outcomes are applied to Korean women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on data from the Korean birth registration data of 2003 to 2012 in order to find a profile and trend of birth outcomes of women of advanced maternal age and from the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Family Health and Welfare of 2003, 2006, and 2009 compiled b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dditionally, interviewing women of advanced maternal age was performed as a qualitative method to understand their needs.
Binary logistic regression demonstrates advanced maternal age is not a significant risk factor of low birth weight and preterm birth.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low birth weight include low parity and initiation of prenatal care at 3rd trimester, and significant risk factors for preterm birth are low parity and not having adequate prenatal care. Significant protective factor for both low birth weight and preterm birth includes increased number of previous normal birth.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have policy implications. The population group that public policies should focus on is women of advanced materal age with low parity or initiation of prenatal care at 3rd trimester or having no adequate prenatal care in order to promote better birth outcomes for this population. Therefore, systematic support are needed including counseling program before and during pregnancy and adequate prenatal care guidelines to help them to plan their pregnancy without unnecessary fear, to receive adequate care they need, and to enhance their birth outcomes. In conclusion, public policies should support late childbearing by providing assistance in the whole process of pregnancy, childbirth, and child raising to make it healthy and overcome low-fertility.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13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3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8
제2장 선행연구 및 이론적 고찰 25
제1절 선행연구 25
제2절 이론적 고찰 36
제3장 고령 임산부의 출산결과 추이 및 현황 47
제1절 고령 임산부의 추이 및 현황 47
제2절 고령 임산부의 출산결과 추이 및 현황 52
제4장 고령 임산부 관련 법률 및 지원 현황 61
제1절 관련 법률 61
제2절 지원 현황 67
제5장 고령 임산부의 출산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75
제1절 연구 방법 75
제2절 연구 결과 81
제6장 고령 임산부 심층 면접 101
제1절 연구 대상 및 방법 101
제2절 연구 결과 109
제7장 고령 임산부 정책 관련 전문가 조사 159
제1절 연구 방법 159
제2절 연구 결과 161
제8장 정책적 지원 방안 및 결론 173
제1절 정책적 지원 방안 173
제2절 결론 186
참고문헌 189
부 록: 조사표 203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3-31-09
ISBN
978-89-6827-072-7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보건의료 자원
보건의료 > 건강증진
인구와 가족 > 저출산대응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5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