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가구·가족의 변동과 정책적 대응방안 연구 = The Changes in the Family and Household Structures and Social Welfare Policies

제목
가구·가족의 변동과 정책적 대응방안 연구 = The Changes in the Family and Household Structures and Social Welfare Policies
저자

김유경 ; 진미정 ; 송유진 ; 김가희

키워드
가구·가족변동 ; 가족변화 ; 가족형성 및 해체 ; 가족관계 ; 가족기능
발행연도
2013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 본 연구는 한국의 가구 및 가족의 시계열적 변화를 분석하고, 가구·가족변화에 따른 사회적 영향 및 분야별 정책 대응방안을 도출하여, 효과적 국가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을 주요 목적으로 함.
○ 1970~2010년 가구 및 가족의 시계열적 변화 추이를 분석하고 가구·가족변화의 사회적, 정책적 영향 파악
○ 전국, 대도시?중소도시?농어촌, 16개 시도별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한국전체와 지역별 정책수립의 기초자료 제공
○ 변동추이를 기반으로 가구·가족변화에 대한 복지, 주거, 가족생활, 소비, 사회서비스 등 분야별 정책 대응방안 마련

Changes in family and household structures in Korea are characterized by nuclear and small families, and major household type has been a two-person household as the average number of household members reduced to 2.69 in 2010. One-person households account for one-fifth of all households. One-generation households have increased in number. On the other hand, households with more than two generations have reduced, and then, household differentiation has been continued. There have been changes in the size and type of households because nuclear families consisting of a couple and their children have majorit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basic data to establish appropriate national policies by analyzing how families and households in Korea have time-sequentially changed after industrialization, understanding the changes in family life and taking political measur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provide basic data to establish effective national policies by analyzing chronological changes in families and households in Korea and deriving political meaning and measure based on changes in families and households.
The political measur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build infrastructure such as paradigm shift, shift to a universal caregiving model, family stability and diversity, and improvement of statistical and research tools in order to respond to changes in families. Second, legal and institutional framework should be established in response to changing family types, and family competence should be enhanced by life-cycle. Third, it will be necessary to explore policies to maintain and control family formation and support population and to expand family policies including various family life cycles in order to maintain a sustainable society. Fourth, it will be necessary to achieve gender equality in martial relationships, to establish new relationships between adult children and elderly parents, and to enhance family cohesion for exploring desirable family relations with a shift to small and nuclear families. Fifth, it will be necessary to expand local community-oriented caregiving networks, to ease the parental burden, to achieve gender equality in caregiving culture in families, and to take measures to reduce conflicts from various perspectives for strengthening family caregiving and support functions. Sixth, policies to minimize family disorganization and to prevent economic, psychological and emotional vulnerabilities should be explored in response to family disorganization, and it will be necessary to enhance various family protection functions and to change the structure of living space with a shift to small families.
목차
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 론 9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1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4
제2장 이론적 배경 21
제1절 가구·가족변화의 개념 및 인식·태도 23
제2절 가구 및 가족변화 원인 30
제3절 가구 및 가족변화 관련 연구동향 분석 51
제3장 가구‧가족의 시계열적 변화추이 57
제1절 지역별 가구 및 가족구조의 시계열적 변화추이 59
제2절 지역별 가구주 특성의 시계열적 변화추이 86
제3절 시사점 95
제4장 가구‧가족 변화실태와 정책적 함의 97
제1절 가족형성 및 해체 변화 99
제2절 가족관계 변화 166
제3절 가족기능 변화 184
제4절 정책적 함의 202
제5장 선진국의 가구·가족 변동과 대응사례 205
제1절 선진국의 가구․가족변동 원인 207
제2절 선진국의 가구․가족변동 실태 216
제3절 선진국의 가족정책 실태 238
제4절 선진국의 가구‧가족 변동의 특성 및 전망 245
제6장 가구·가족의 변화 전망과 의미 분석 251
제1절 가족변화의 원인 전망 253
제2절 가족형성과 해체의 변화 전망 256
제3절 가족관계의 변화 전망 269
제4절 가족기능의 변화 전망 272
제5절 가구‧가족 전망 및 정책적 의미 분석 279
제7장 가구·가족변화에 따른 정책적 대응방안 283
제1절 가구‧가족변화 관련 정책방향 285
제2절 가구‧가족변화 관련 정책적 대응방안 286
참고문헌 309
부 록 315
부록 1. 가족가치관에 대한 인식 및 태도 조사 315
부록 2. 가족변화에 대한 인식 및 실태조사 322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3-31-08
ISBN
978-89-6827-071-0
KIHASA 주제 분류
인구와 가족 > 가족변화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8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