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출산·보육 통계생산 및 관리효율화 연구 = Productions and Efficient Management for Fertility and Childcare Statistics

제목
출산·보육 통계생산 및 관리효율화 연구 = Productions and Efficient Management for Fertility and Childcare Statistics
저자

도세록 ; 오미애 ; 신창우 ; 이난희 ; 신은숙

키워드
출산 ; 보육 ; 사후층화
발행연도
2013
초록
□ 출산과 보육 정책은 연계성을 갖고 추진될 때 정책 효과성이 향상되고 그 기초가 되는 통계자료 또한 통합적으로 관리될 때 활용성이 증가함. 그동안 개별적으로 추진된 통계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완전한 통계자료 DB를 구축하고 통계수요에 대비한 통합적인 조사항목을 표준화하여 조사결과의 정책 활용을 향상시켜야 할 것임
□ 연구목적은 출산 및 보육 통계자료 활용성 증대를 위한 DB 구축 및 연계조사 방안 마련
○ 구체적으로는
- 시계열 DB구축 및 지표생산
- 출산과 보육 실태에 대한 연계 분석
- 신규로 필요한 출산 및 보육 통계수요 파악
- 출산 및 보육 통계조사 항목 표준화

This study aims to raise the utilization of the integrated fertility survey data built over two years by KIHASA(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nd to seek a statistical production system linked with childbirth and child care in aspects of solving the low birth rates as a major national policy in reality.
As for the fertility surveys conducted 12 times during 1974~2009, their sample survey designs were not consistent and some of them have become a stumbling block in statistical analysis due to the absence of their sampling weight. Accordingly, new sampling weight was required to build the integrated file and to conduct the time series analysis. Thus, the existing sample weight was adjusted through post-stratification or a sampling weight was added for the years without no sampling weight. But the time difference was made between the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conducted every five years and the fertility survey carried out every three years. To solve this, the census data were designed to be consistent with the fertility survey years through interpolation. The results of applying the new multiplier revealed a new effect that main time series indicators were smoothed, such as the average number of live births, average number of pregnancies, and average number of pregnancy wastages.
There are many differences between the fertility survey and the childcare survey. For this reason, it is difficult to physically integrate the two surveys. Thus, it is necessary to link the sample designs of the two surveys using a master sample and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childbirth and childcare policies by allowing the results of the fertility survey and the childcare survey to be linked through the expansion of common survey categories and the standardization of measurements.
For the active utilization of the fertility survey series constructed, it is required to upload materials to the Micro Data Service System run by NSO(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to establish a separate website, so that many users can access and download raw materials. In this regard, it is also important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survey results by enforcing the management of the fertility survey and the childcare survey nationwide, linking the sample designs, and standardizing the survey items.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1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1
제3절 출산과 보육의 연관성 24
제2장 외국의 출산 및 보육관련 통계생산 활동 29
제1절 UN FFS(Fertility and Family Surveys) 31
제2절 미국 NSFG(National Survey of Family Growth) 39
제3절 미국 IFSS(Integrated Fertility Survey Series) 47
제4절 뉴질랜드 CCS(Childcare Survey) 53
제5절 시사점 57
제3장 출산력 시계열 DB의 활용 59
제1절 출산력 시계열 DB의 구성 61
제2절 출산력 시계열 DB 승수 조정 71
제3절 출산력조사 승수조정 효과 분석 82
제4절 기혼부인 연령 및 교육수준 보정 효과 분석 87
제5절 시사점 96
제4장 출산․보육 통계생산 활동 97
제1절 출산력조사와 결혼 및 출산동향조사 99
제2절 보육통계 생산활동 104
제3절 여성가족패널조사 111
제4절 인구동향조사 114
제5장 출산‧보육 통계생산 및 관리 효율화 117
제1절 출산‧보육 연계 가구조사 설계 119
제2절 출산‧보육 연계 가구조사 조사표설계 131
제3절 연계 가구조사 설계의 시사점 139
제6장 결론 및 정책제언 141
참고문헌 147
부록: 출산력조사 통합파일 연도별 조사항목 151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3-31-07
ISBN
978-89-6827-070-3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사회보장 통계
인구와 가족 > 인구변화
인구와 가족 > 가족변화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