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아동보호체계 연계성 제고방안 = Networking in the Child Welfare System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미숙
dc.contributor.author양심영
dc.contributor.author김기현
dc.contributor.author하태정
dc.date.accessioned2014-03-27T01:15:04Z
dc.date.available2014-03-27T01:15:04Z
dc.date.issued2013
dc.identifier.isbn978-89-6827-068-0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1292
dc.description.abstract□ 본 연구는 파편화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현재 아동보호체계의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한 뒤 체계적이고 연속성 있는 아동보호체계를 구축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함. ○ 지금까지 아동보호체계 연계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았고, 공공아동복지 전달체계의 개선방안을 주제로 다루었음.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차별적으로 중앙 및 지방차원에서 아동보호체계의 연속성을 구축하는데 주안점을 두고자 함. - 아동보호체계에 대한 이론적 고찰 및 보호대상아동 규모 파악 - 국외 아동보호체계 연계현황 및 시사점 분석 - 아동보호체계 연계현황 및 문제점 분석 - 아동보호체계 연계성 제고방안 마련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nalyzed the child welfare network system and devised a systematic network among institutions. It reviewed previous research, estimated the number of children who are potentially in need of social services, and interviewed (qualitative) and surveyed (quantitative) both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 employees. Bot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findings confirmed that the current child welfare delivery system is in lack of network among various institutions. Moreover, there are several obstacles in networking: a lack of the data on children in need of social support, irregular and rare board member meetings to share experiences and information on child welfare, weak network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s, and little collaboration of the child welfare institutions with schools. This study proposed both short-term and mid-term tasks to solidify network among agencies, such as establishing a hub in the public sector, reflecting the networking level on institution evaluation, having regularly child welfare board meetings, sharing information among agencies, and improving working conditions for the employees in charge of network (short-term), and enacting a law regarding network and expanding child welfare delivery agencies (mid-ter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 론 7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9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0 제2장 이론적 배경 15 제1절 아동보호체계의 개념 및 유형 17 제2절 요보호아동 규모 추계 30 제3절 아동보호체계 연계에 대한 이론적 고찰 33 제3장 국외 아동보호체계 53 제1절 미국의 아동보호체계 55 제2절 독일의 아동보호체계 78 제3절 일본의 아동보호체계 92 제4장 아동보호체계 연계실태 파악을 위한 실무자 FGI 결과 111 제1절 FGI 개요 113 제2절 대상 아동의 발견 및 배치 116 제3절 아동보호체계 간 연계 실태 124 제4절 아동보호체계의 문제점 및 시사점 136 제5장 아동보호체계 연계실태 파악을 위한 실무자 양적조사 결과 151 제1절 조사 개요 153 제2절 조사 결과 156 제3절 시사점 215 제6장 결론 및 정책제언 221 제1절 연구결과 요약 223 제2절 정책제언 225 참고문헌 233 부 록 241 〔부록 1〕 아동보호체계 연계실태 파악을 위한 FGI 질문 241 〔부록 2〕 아동보호체계 연계실태 파악을 위한 실무자 조사 설문지 242 〔부록 3〕 아동보호체계 연계 사례: 정신보건심의위원회 및 서울시아동보호체계 245
dc.formatapplication/pdf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CC BY-NC-ND 2.0 KR)
dc.rightsKOGL BY-NC-ND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rights.urihttp://www.kogl.or.kr/info/licenseType4.do
dc.title아동보호체계 연계성 제고방안
dc.title.alternativeNetworking in the Child Welfare System
dc.typeBook
dc.type.localReport
dc.subject.keyword아동보호체계
dc.subject.keyword아동보호체계 연계성
dc.subject.keyword요보호아동
dc.subject.keyword모니터링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하태정
dc.type.other연구보고서
dc.identifier.localId연구보고서 2013-31-05
dc.identifier.localIdResearch Monographs 2013-31-05
dc.subject.kihasa아동복지
KIHASA 주제 분류
사회서비스 > 아동복지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6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