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소득분배 악화의 산업구조적 원인과 대응방안 = Change in Industrial Structure and Growing Inequality in Korea

제목
소득분배 악화의 산업구조적 원인과 대응방안 = Change in Industrial Structure and Growing Inequality in Korea
저자

강신욱 ; 강두용 ; 홍민기 ; 정현상

키워드
산업구조 ; 소득 불평등 ; 노동소득 분배율 ; 불평등 분해
발행연도
2013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 한국의 소득분배구조 악화의 근본적 원인을 탐색
○ 소득분배구조를 초래한 다양한 원인들 가운데 산업구조 측면의 변화의 기여분에 대한 진단
○ 노동시장의 변화는 물론, 외부적 경제환경 변화의 효과와 구분
□ 분배구조 개선을 위한 각 정책 영역별 과제 설정의 근거 제공
○ 산업정책, 고용정책 등 시장소득의 불평등 악화 방지를 위한 정책과 소득재분배를 통한 불평등 완화 정책 등 각 정책의 역할, 가능성, 한계 등을 분석

It is widely accepted that income inequality of Korea has worsened since the economic crisis of 1997 and the main driver of this deterioration lies in the change of labor market. But when we attend to more long term trend, we can find that the income inequality started to get worse since early 1990's. In this research we tried to find to what degree the increasing income inequality has to do with change in industrial structure in Korea, especially from 1992 to 1997. After summing up the general figure of industrial change, we analysed the effect of change in industrial structure to income distribution, from the view point of income disparity among classes as well as labor-capital income share.
With regard to the added value, the share of manufacturing industry of Korea is one of the highest in OECD countries. But employment share of manufacture of Korea is just a average level of OECD countries. This means that there exists large gap in labor productivity between manufacture and service area, and also implies that deindustrialization has been going on with increasing income inequality in Korea.
To find the effect of industrial change to functional income distribution more correctly, we assume that labor income share in self-employed sector is equal to that of corporation sector. It turned out to that the change in industrial structure as well as employment structure affected to decreasing labor income share for decades.
By means of inequality index(MLD) decomposition and regression model we also tried to find the influence of industrial change on householders labor income inequality. Thought industrial factor by itself was not main driver of worsening income distribution, it is found to play more important role before 1997 crisis.
Considering the long-term and underlying influence of industrial change on income inequality, it should be closely examined what effects industrial policy measures will make. It should be kept in mind that promoting employment in service sector could have negative effect on income inequality in the presence of continuing disparity in labor productivity between manufacture and service area.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11
제1절 문제제기 11
제2절 연구의 방법 및 구성 14
제2장 한국 산업구조의 변화 추이와 특징 19
제1절 산업구조 변화의 주요 개념 및 분석자료 19
제2절 한국 산업구조 개관 21
제3절 1990년 이후 산업구조 변화 추이의 특징 32
제4절 소결 45
제3장 산업구조 변화와 노동소득 분배율 49
제1절 산업별 노동소득 분배율에 관한 선행 연구 49
제2절 노동소득 분배율의 측정 50
제3절 산업별 노동소득분배율 53
제4절 산업구조 변화와 노동소득 분배율 59
제5절 소결 66
제4장 산업구조 변화와 가구주 노동소득 불평등 71
제1절 1990년대 이후 가구소득 불평등의 시기별 특징 71
제2절 데이터 및 분석 방법 74


제3절 가구주 취업의 산업별 분포와 소득 격차 79
제4절 가구주의 종사산업별 노동소득 불평등 분해 82
제5절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 소득불평등 분해 90
제6절 소결 97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101
제1절 주요 결론 101
제2절 정책적 시사점 103
참고문헌 107
부 록 111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3-13
ISBN
978-89-6827-044-4
KIHASA 주제 분류
사회보장 일반 > 복지국가
소득보장 > 노동연계복지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