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한국의 건강불평등 지표와 정책과제 = Developing Health Inequalities Indicators and Monitoring the Status of Health Inequalities in Korea

제목
한국의 건강불평등 지표와 정책과제 = Developing Health Inequalities Indicators and Monitoring the Status of Health Inequalities in Korea
저자

김동진이소영 ; 기명 ; 김명희 ; 김승섭 ; 김유미 ; 윤태호 ; 장숙랑 ; 정최경희 ; 채희란 ; 이정아

키워드
건강불평등 ; 건강형평성 ; 지표 ; 사회경제적 위치
발행연도
2013
발행기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건강불평등 측정 및 모니터링을 위한 1차 년도 연구로서 지표 영역 및 세부지표를 개발하고, 그 중 대표지표라 할 수 있는 지표들을 직접 생산하는 것까지를 주요 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개발된 지표가 건강불평등 해소 노력과 연계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지표 영역 설정 및 세부 지표 개발시 정책과의 연계성에 중점을 두고자 노력하였다.
그 동안 국가 수준, 지방정부 수준 등 다양한 수준에서 건강 형평성 제고 정책이 제안된 바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실행으로 이어지지 못하였다. 본 보고서는 건강불평등 해소를 위한 사회적 분위기 전환에 촉매제로서 활용되기를 바라며, 이를 계기로 건강불평등 해소를 위한 보다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정책이 수립되기를 기대한다.

The first of a multi-year project on measuring and monitoring health inequalities in Korea, this study is aimed at developing relevant indicators. Drawing on the framework of the Third Korean Health Plan 2020 and the health inequality model of WHO CSDH(2008), we identified five indicator categories: socioeconomic status; region, health behavior, health outcomes (healthy life expectancy, morbidity, mortality, etc.) and health service accessibility.
The authors reviewed existing social status indicators, which have been used in different ways by different researchers. We measured indicators for the "region" category, taking into account three dimensions of deprivation (social, economic, and regional). For "health behavior", the we measured health inequalities in terms of indicators mirroring age, income level, educational attainment, and occupation. Gaps were identified between different population groups in smoking rate, drinking rate, and physical activity. In the category of "healthy life expectancy", we found gaps between men and women and between regions. Both all-cause mortality and the cause of death varied depending on gender and region; suicide rates varied with differences in educational attainment, and such variances were found to have been rising in some populations.
Suggest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clude the following. First, there is a need for the government to designate a division responsible for tasks concerning health inequalities. Second, health inequalities indicators will have to be produced in a more detailed way, taking into account smaller district units including eup, myeon, and dong. Third, there is a need for establishing a systematic framework to make the most of health inequalities indicators in policy-making.
목차
Abstract 1
요약 3
제1장 서론 13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3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17
제2장 건강불평등 관련 국제동향 23
제1절 세계보건기구 23
제2절 영국 31
제3절 미국 42
제4절 스웨덴 54
제5절 네덜란드 67
제6절 우리나라에서의 함의 74
제3장 건강불평등 지표 영역 79
제1절 건강불평등 발생 기전 79
제2절 건강정책 모형 88
제3절 건강불평등 지표 영역 설정 93
제4절 건강불평등 지표 선정 원칙 102
제4장 한국형 건강불평등 지표 107
제1절 사회경제적 위치 107


제2절 지역 166
제3절 건강행태 179
제4절 건강결과 194
제5절 의료이용 257
제5장 한국형 건강불평등 주요 지표 현황 275
제1절 사회경제적 위치 275
제2절 지역 286
제3절 건강행태 299
제4절 건강결과 332
제5절 의료이용 383
제6장 결론 393
제1절 결론 및 제언 393
제2절 향후 추진방향 397
참고문헌 399
부록 419
부록 1. CSDH 개념적 틀 419
부록 2. 사회경제적 지표 별 한국의 건강불평등 연구 요약(2005년 이후) 449
부록 3. 건강불평등 지표 472
보고서 번호
연구보고서 2013-10
ISBN
978-89-6827-041-3
KIHASA 주제 분류
보건의료 > 건강증진
메타데이터 전체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5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