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국내 청소년의 과거 영화 속 흡연장면 노출 정도와 현재 흡연유무와의 관련성 = Association between Exposures of Smoking Scenes in Movies and Smoking Behavior among Korean Adolescent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김이경
dc.contributor.author이성규
dc.contributor.author이향기
dc.contributor.author지선하
dc.date.accessioned2014-01-14T01:55:45Z
dc.date.available2014-01-14T01:55:45Z
dc.date.issued2013-12-0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0992
dc.description.abstract우리나라에서는 영화 속 흡연장면 노출과 청소년 흡연행태 간의 인과관계를 증명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지 않았고, 문제인식조차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국내 청소년들의 과거 영화 속 흡연장면 노출 정도와 현재 흡연상태와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했다. 고등학생과 대학생 1,07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영화 속 흡연장면 노출 횟수는 지난 2005년부터 2006년 9월말 사이 개봉된 총 70편의 한국 영화 속 흡연 장면을 모니터링한 조사 자료를 사용했다. 분석 결과, 현재 흡연군의 영화 속 흡연장면 평균 노출 횟수는 137.4회(표준편차, ±47.8)였고, 비흡연군은 74.4회(±47.9회)였다. 영화 속 흡연장면 노출이 가장 많았던 그룹(133-340회)이 노출횟수가 가장 낮은 그룹(50회 이하)에 비해 현재 흡연율이 38.7배(95% 신뢰구간, 15.4-97.3) 높았고, 93회에서 132회 노출된 군은 18.9배(95% 신뢰구간, 7.6-47.5) 높았다. 많은 횟수의 영화 속 흡연장면 노출은 청소년들의 흡연행태와 긍정적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화 속 흡연 장면으로부터 청소년들을 보호하기 위해서 영화 및 비디오 등급 분류 기준 강화와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을 통해 영화의 흡연장면 삽입을 규제하는 정책적 접근이 요구된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preliminary data in order to develop strong and comprehensive tobacco control policies by analyzing the association between exposures of smoking scenes in movies and smoking behavior. The data was collected from a total of 1,075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The group exposed smoking scenes in the movie between 133 and 340 times was more likely to be current smokers, compared to the group exposed the scenes less than 50 times [odds ratio (OR) 38.7; 95% confidence interval (CI) 15.4-97.3]. After adjusting the confounding factors which affect smoking behavior, exposure to smoking scenes in movies was a risk factor to current smoking status. There was the association between exposure of smoking scenes in movies and current smoking status among Korea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The study provides an important evidence to reinforce tobacco control policies for young people by banning the use of smoking scenes in movies targeting adolescents. The existing movie classification regulations should be revised and fully implemented to protect adolescents and young people from smoking scenes in mov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연구배경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dc.format.extent21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국내 청소년의 과거 영화 속 흡연장면 노출 정도와 현재 흡연유무와의 관련성
dc.title.alternativeAssociation between Exposures of Smoking Scenes in Movies and Smoking Behavior among Korean Adolescent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담배
dc.subject.keyword흡연
dc.subject.keyword청소년
dc.subject.keyword영화 속 흡연장면
dc.subject.keywordTobacco
dc.subject.keywordSmoking
dc.subject.keywordAdolescent
dc.subject.keywordSmoking Scene in Movies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3
dc.citation.number4
dc.citation.startPage497
dc.citation.endPage517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3권 제4호, pp.497-517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3 No.4, pp.497-517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