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난임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 Factors Related to the Depression of Infertile Women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황나미
dc.date.accessioned2013-10-14T08:31:31Z
dc.date.available2013-10-14T08:31:31Z
dc.date.issued2013-09-0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0743
dc.description.abstract우울증상은 난임 치료를 방해하고 임신성공 효과를 떨어뜨리며 치료중단까지 유발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성공적인 임신을 위해 난임여성의 우울 고위험군을 도출하여, 정서적 지지가 필요한 계층을 중심으로 목표화된 중재 수립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목적은 난임진단 후 인공수정 및 체외수정 등 보조생식 시술 여성(279명)을 대상으로 난임진단 및 치료 과정에서 초래된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여, 고위험 대상을 규명하고, 정서적?사회적 지지 프로그램 개발의 근거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시술비용 부담정도, 체외수정시술횟수, 부부친밀도가 유의한 영향요인이었고, 이 가운데 부부 친밀도가 가장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난임여성의 인구사회적 특성, 난임원인의 남편유무 및 시댁과의 관계, 임신성공 여부 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따라서 난임여성의 우울 등의 정신적 고통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난임진단 이후 경과기간이 긴 대상보다는 체외수정 시술을 3회 이상 경험한 여성과 그 배우자를 대상으로 정서적 지지 프로그램을 개발?운용하고, 임신성공 여성에게도 안전한 출산까지 이를 수 있도록 지지체계를 마련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비급여인 보조생식술을 건강보험제도권내에서 지불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개선하여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ocio-economic factors, infertile types, and characteristics influencing depression of infertile women who received treatment of ART(Assisted Reproduction Technologies) and to provide the information on evidence-based heath care programs for infertile women. This study collected data of 279 infertile women who visited medical clinics to receive the ART services from June to September, 2010 and members of self-help meeting of infertility.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nancial burden of medical treatment, relationship with husband and the number of frequency of IVF treatment wer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which explained 20.9% of the variance in depression among infertile women(p<.001). However, relationship with in-laws, duration of infertility since its diagnosis, and the origin or contributor to infertility were not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depression of infertile women. This study also found that emotional support program for infertile couples was one of factors relieving depression of infertile women. Thus, the depression care intervention should target first for the infertile women who were in low economic class or/and experienced with IVF over three tim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a paradigm shift from supporting one factor to considering various aspects simultaneously such as professional health care intervention, cost, and emotional care.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infertility treatment services and ART need to be covered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progra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연구배경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목적 및 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dc.format.extent27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난임 여성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dc.title.alternativeFactors Related to the Depression of Infertile Women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난임
dc.subject.keyword우울
dc.subject.keyword보조생식술
dc.subject.keyword체외수정
dc.subject.keyword인공수정
dc.subject.keywordDepression
dc.subject.keywordIVF
dc.subject.keywordInfertile Women
dc.contributor.affiliatedAuthor황나미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3
dc.citation.number3
dc.citation.startPage161
dc.citation.endPage187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3권 제3호, pp.161-187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3 No.3, pp.161-187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6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