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미국의 응급피임약 판매정책의 변화와 여성의 성행위 변화양상에 관한 실증연구 = An Empirical Investigation on Availability of Emergency Contraception and Sexual Behaviors: Any Causal Effects?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조창익
dc.date.accessioned2013-10-14T08:30:08Z
dc.date.available2013-10-14T08:30:08Z
dc.date.issued2013-09-0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074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2006년 미국의 FDA가 응급피임약의 BTC(behind-the-counter) 판매를 허용한 시점을 전후로 여성의 성행위 변화양상을 NLSY97 데이터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응급피임약의 유용성이 증가함에 따라 성행위 및 복수의 sex partners를 가질 확률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응급피임약의 유용성 증가가 오히려 여성이 콘돔의 사용을 통해서 성병 감염으로부터 안전한 성행위를 주장할 협상력이 떨어져 여성들이 성행위자체와 복수의 sex partners와의 성행위를 회피하고자 자발적으로 선택한다고 해석될 수 있다. 반면, 복수의 sex partners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콘돔을 쓰지 않는 성행위의 확률은 오히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응급피임약의 유용성을 확대하는 정책의 본래 목표가 원치 않는 임신을 막고 임신중절을 낮추고자 하는 것에 있었으나, 일부 집단에서는 성병 감염의 증가와 같은 의도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비책 또한 마련될 필요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응급피임약의 유용성 증가로 예기치 못한 공중보건의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는 사실로부터 해당 의약품을 이용하는 여성들에게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다각적인 방안(교육, 캠페인, 의약품 포장에 경고문구의 삽입 등)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causal impacts of the increased availability of emergency contraception (EC) on women’s sexual activities due to state and federal governments’ approval on switching to BTC sales. Women with weakened bargaining power for safe and protected sex would eventually opt for less sexual activities and less sex partners, while some women with multiple sex partners even increase the probability to have unprotected sex without the use of condom. Though this policy is designed to ultimately decrease unintended pregnancy and to reduce abortion rates by offering women another option, the policy-makers should also consider and minimize any unintended consequences such as higher risk of STIs for women by educating them about the multiple risk from unprotected sex, and by mandating EC package to display a warning, etc.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Ⅱ. 미국의 응급피임약 관련 정책 Ⅲ. 문헌고찰 Ⅳ. 개념적 접근 Ⅴ. 실증분석 Ⅵ. 분석결과 Ⅶ. 토의 Ⅷ. 결론 참고문헌
dc.format.extent22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rightsAttribution-NonCommercial-NoDerivs 2.0 Korea
dc.rights.uri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2.0/kr/
dc.title미국의 응급피임약 판매정책의 변화와 여성의 성행위 변화양상에 관한 실증연구
dc.title.alternativeAn Empirical Investigation on Availability of Emergency Contraception and Sexual Behaviors: Any Causal Effects?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응급피임약
dc.subject.keyword유용성
dc.subject.keyword성행위
dc.subject.keyword협상력
dc.subject.keyword성병
dc.subject.keywordEmergency Contraception (EC)
dc.subject.keywordAvailability
dc.subject.keywordSexual Activity
dc.subject.keywordBargaining Power
dc.subject.keywordSexually Transmitted Infections (STIs)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3
dc.citation.number3
dc.citation.startPage188
dc.citation.endPage209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3권 제3호, pp.188-209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3 No.3, pp.188-209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0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