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노인 인지문제 개선 예측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고령자패널데이터(KLoSA)를 이용하여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redictors of Cognitive Improvement among Older Adults: Using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KLoSA)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dc.contributor.author전해숙
dc.date.accessioned2013-07-11T01:29:12Z
dc.date.available2013-07-11T01:29:12Z
dc.date.issued2013-06-01
dc.identifier.issn1226-072X
dc.identifier.urihttps://repository.kihasa.re.kr/handle/201002/1046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노인들의 손상된 인지기능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대해 알아보고 노인의 인지기능의 개선 여부와 관련된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서 고령화연구패널조사 1차년도와 2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대상은 1차년도에 참여한 총 조사대상자 중에서 인지기능에 문제가 있고 2차년도 인지정보를 통해서 인지문제 유지 또는 개선여부 판단이 가능한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N=1,569명). 인지기능장애는 K-MMSE(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에서 23점을 평가기준점으로 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1차년도에 인지기능의 손상이 있었던 노인의 78.6%는 여전히 인지기능의 장애가 있다고 답한 반면 21.4%는 인지기능이 호전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인지기능개선의 예측요인으로는 연령, 성별, 교육, 종교, 소득과 같은 사회인구학적 요인들이 노인의 인지기능 개선과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이 낮을수록, 남성이 여성보다, 교육이 높을수록, 종교가 있는 노인이, 소득이 높을수록 인지문제 개선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정기적 운동을 하는 노인들과 사교모임수가 많은 노인들이 인지문제를 개선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을 두어 노인들의 인지기능 개선을 위한 실천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ed to examine how cognitively impaired function of the elderly is changed over time and what factors are associated with cognitive improvement over 2 years. The study used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 Wave 1 and Wave data. Participants included 1,569 elders aged 65 and over who scored 23 or lower in K-MMSE(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at Wave 1.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was employed for the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78.6% of the participants reported that they had cognitive impairment at Wave2, while 21.4% of the participants that their cognitive impairment was improved over 2 years. (2) Socio-demographic factors such as age, gender, education, religion, income a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cognitive improvement over 2 years. That is, younger participants, males, individuals with higher education, with religion, and with higher income presented higher probability of cognitive improvement. (3) Those practicing regular physical activity and having more numbers of socially engaging activities presented higher probability of cognitive improvement over 2 year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 was discuss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Ⅱ. 문헌연구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dc.format.extent28
dc.languagekor
dc.publisher한국보건사회연구원
dc.publisher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dc.title노인 인지문제 개선 예측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고령자패널데이터(KLoSA)를 이용하여
dc.title.alternativeAn Exploratory Study on the Predictors of Cognitive Improvement among Older Adults: Using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ing(KLoSA)
dc.typeArticle
dc.type.localArticle(Series)
dc.subject.keyword인지손상
dc.subject.keyword인지개선
dc.subject.keyword신체적 운동
dc.subject.keyword사회적 참여
dc.subject.keywordCognitive Impairment
dc.subject.keywordCognitive Improvement
dc.subject.keywordPhysical Activity
dc.subject.keywordSocial Engagement
dc.citation.title보건사회연구
dc.citation.title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dc.citation.volume33
dc.citation.number2
dc.citation.startPage461
dc.citation.endPage488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보건사회연구 제33권 제2호, pp.461-488
dc.identifier.bibliographicCitation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Vol.33 No.2, pp.461-488
메타데이터 간략히 보기

다운로드 파일

공유

qrcode
공유하기
Cited 12 time in

아이템 조회 수, 다운로드 수

Loading...

라이선스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