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05
타진료권 의료이용에 관한 요인 및 기여도 분석 = A Study on Factor Analysis of Bypassing the Regional Medical Facilities for the Utilization in Other Health Services Districts
김은주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4-12-01, 보건사회논집 제14권 제2호, pp.82-102
- 504
탈북 1인 가구의 남한생활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 The Experience of the One-Person Household among the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김현아; 조영아; 김요완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12-30, 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4호, pp.321-353
- 503
탈북 중 ․ 고령자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정부지원 인식에 따른 삶의 만족도 = Relationship between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and Recognition about Government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among Old North Korean Defectors
정순둘; 박지혜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03-01, 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1호, pp.105-132
- 502
탈북이주자 사회정착지원 개선방안
이정우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6-11-01, 보건복지포럼 1996년 11월 통권 제2호, pp.52-59
- 501
탈성매매여성의 불안과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Factors Affecting Anxiety and Depression of Women After the Exit of Prostitution
김자영; 양정빈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09-01, 보건사회연구 제33권 제3호, pp.130-160
- 500
탈시설과 지역사회중심 복지서비스 구축, 어떻게 할 것인가?: 자립과 상호의존을 융합하는 커뮤니티 케어 = Deinstitutionalization and Building Community-Based Personal Social Services: Community Care that Connects Independence and Interdependence
김용득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09-30, 보건사회연구 제38권 제3호, pp.492-520
- 499
탈시설화 시대의 치료 연속성과 지역사회 서비스 제공의 핵심 원리: 미국 애리조나주의 경험 = Continuity of Care and a Tenet for Providing Community-Based Services in the Era of Deinstitutionalization: Experience of Arizona, US
오현성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06-30, 국제사회보장리뷰 2019년 여름 9호, pp.34-47
- 498
태국의 사회안전망 현황 및 미래의 도전과제
홍석표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07-20, 보건·복지 Issue & Focus 148호, pp.1-8
- 497
텍스트 마이닝 기반 보건 분야에서의 블록체인 이슈 분석 = Block Chain Issue Analysis In Health Field Based on Text Mining
한예은; 최은아; 오미애한국자료분석학회, 2019-12-31,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21, no. 6, pp. 2813 - 2828
- 496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기후변화관련 식품분야 논문초록 분석 = Analysis of the abstracts of research articles in food related to climate change using a text-mining algorithm
배규용; 박주현; 김정선; 이영섭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013-11-30,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ol. 24, no. 6, pp. 1429 - 1437
- 495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저출산’ 관련 연구동향 분석: 정부의 저출산 정책 추진 과정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ow Fertility’ Research Trends Using Text Mining Technique: Focusing on the Comparison with the Process of Low Fertility Policy
오신휘; 김혜진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09-30, 보건사회연구 제40권 제3호, pp.492-533
- 494
토론주제: 건강증진연구사업의 현황과 발전방향
조남훈; 박용주; 남정자; 변종화; 서미경; 김혜련; 이주열; 최은진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9-09-01, 보건복지포럼 1999년 9월 통권 제36호, pp.15-27
- 493
통계는 수치를 넘어서 정책이다
권덕철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08-01, 보건복지포럼 2017년 8월 통권 제250호, pp.2-4
- 492
통계로 본 한국의 보건 동향 = Health in Korea at a Statistical Glance
장영식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09-01, 보건복지포럼 2012년 9월 통권 제191호, pp.28
- 491
통계로 본한국의 어제, 오늘, 그리고 도전
조성겸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09-01, 보건복지포럼 2012년 9월 통권 제191호, pp.4
- 490
통일 대비 보건의료분야의 전략과 과제
황나미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05-16, 보건·복지 Issue & Focus 240호, pp.1-8
- 489
통일 독일의 사례를 통해 본 남북한 주요 건강지표의 현황과 전망 = Major Health Indicators in South and North Korea: With Special Reference to West and East Germany
조경숙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06-30, 보건사회연구 제36권 제2호, pp.33-56
- 488
통일 이후 돌봄서비스의 사회통합 역할에 관한 연구: 미래 시나리오 분석
최영준; 황규성; 최혜진한국사회정책학회, 2016-03-31, 한국사회정책, vol. 23, no. 1, pp. 61 - 93
- 487
통일 전 동서독 교류ㆍ협력의 전개과정에서 본 동서독 보건의료 교류ㆍ협력의 내용 및 특성 = Lessons form the East- and West-German Bilateral Cooperation in the Fields of Public Health and Medicine
유근춘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06-01, 보건복지포럼 2005년 6월 통권 제104호, pp.41-60
- 486
통일 한국의 사회보장제도를 어떻게 준비해야 하나
노용환한국보건사회연구워, 2018-03-01, 보건복지포럼 2018년 3월 통권 제257호, pp.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