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owing results 856 to 875 of 6021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대한 행정 자료 보완에 따른 소득 분포 변화
이원진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09-28, 보건·복지 Issue & Focus 392호, pp.1-12
박정민; 박호준; 오욱찬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7-12-31, 사회복지연구, vol. 48, no. 4, pp. 33 - 57
박정민; 오욱찬; 구서정한국사회복지학회, 2017-05-31, 한국사회복지학 제69권 2호, pp.171-190
이영훈가족계획연구원, 1975-12-01, 가족계획논집, vol. 2, pp. 64 - 75
김문길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11-08, 보건·복지 Issue & Focus 214호, pp.1-8
가구균등화지수 추정모형에 대한 연구 = A Study for Household Equivalence Scale Estimation Methods
이충섭한국인구보건연구원, 1989-07-01, 인구보건논집 제9권 제1호, pp.97-119
남상호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06-08, 보건·복지 Issue & Focus 142호, pp.1-8
김현식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06-15, 보건·복지 Issue & Focus 143호, pp.1-8
가구소득과 아동기의 건강 불평등 = Family Income and Child Health Gradient in Korea
이용우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09-30, 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3호, pp.7-32
가구유형별 양육비 지출의 격차와 정책과제 = Family Type and Childcare Expenses
김연우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05-01, 보건복지포럼 2013년 5월 통권 제199호, pp.68
정연; 허순임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 2012-12-31,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 18, no. 4, pp. 21 - 39
가구의 에너지 소비 실태와 특성 = Household Energy Consumption and Its Characteristics
박광수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07-01, 보건복지포럼 2019년 7월 통권 제273호, pp.16-28
이다미; 강지혜; 조한나한국사회보장학회, 2016-11-30, 사회보장연구, vol. 32, no. 4, pp. 85 - 124
이다미; 정창률한국사회정책학회, 2019-06-30, 한국사회정책, vol. 26, no. 2, pp. 89 - 114
황지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12-31, 보건사회연구 제40권 제4호, pp.611-635
가임기 기혼여성의 노동시장 참여형태가 출산 이행에 미치는 영향 = Impact of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on Fertility
이삼식; 최효진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12-30, 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4호, pp.153-184
가임기 여성의 재혼과 출산 문화 = A Culture of Remarriage and Childbearing
이난희; 송혜숙한국문화산업학회, 2015-12-01, 문화산업연구, vol. 15, no. 4, pp. 175 - 179
황나미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7-12-01, 보건사회연구 제27권 제2호, pp.122-141
강은정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7-10-01, 보건복지포럼 2007년 10월 통권 제132호, pp.59-70
김유진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06-30, 보건사회연구 제35권 제2호, pp.315-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