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21
중국의 한 자녀 정책 폐지
라기태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01-18, 글로벌사회정책브리프, vol.3, pp.1-3
- 920
중국의 「중의약 발전 제13차 5개년 규획」 주요 내용과 시사점 = China’s 13th Five-year Plan for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Development and Its Implications
윤강재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09-01, 보건복지포럼 2016년 9월 통권 제239호, pp.131-145
- 919
중국항만시설 보안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Chinese Port Facilities on Security Issues and Improvement
진쟁휘; 왕치엔; 김경래(사)한국해양비즈니스학회, 2011-04-30, 해양비즈니스, no. 18, pp. 143 - 167
- 918
중기 사회안전망 구축
김미곤; 양시현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9-07-01, 보건복지포럼 1999년 7월 통권 제34호, pp.54-70
- 917
중남미국가의 사회보장개혁
원종욱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6-10-01, 보건복지포럼 1996년 10월 통권 제1호, pp.16-27
- 916
중년 1인가구와 다인가구의 건강행태 및 질병 이환 비교 = Comparison of Health Behaviors, Disease Prevalence between Middle Aged One-Person Households and Multi-Member Households in South Korea
이하나; 조영태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09-30, 보건사회연구 제39권 제3호, pp.380-407
- 915
중년 여성과 고령 여성의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체계적 결정 요인과 우울 증상에 관한 종단연구 = A Longitudinal Study on Ecological Determinants Associated with Middle-Aged and Elderly Women’s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ve Symptoms
박소연; 박소영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12-31, 보건사회연구 제38권 제4호, pp.129-163
- 914
중년 여성의 음주문제와 자아존중감 사이의 인과관계 분석 =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Problem Drinking and Self-Esteem in Middle-aged Women
허만세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03-01, 보건사회연구 제32권 제1호, pp.201-227
- 913
중년기 부부의 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가 우울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 = The Effects of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on Depression in Middle-Aged Couples: Analysis Using an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
차근영; 김석선; 길민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06-30, 보건사회연구 제37권 제2호, pp.126-149
- 912
중년기 취업여성과 비취업여성의 은퇴기대와 노후준비: 충남 서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 Expectation and Preparation for Retirement of Employed and Unemployed Women in Middle Age
이남; 한정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09-30, 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3호, pp.374-399
- 911
중년기에 암 진단을 받은 후 생존한 사람들의 투병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 A Qualitative Case Study on the Coping Experiences of Cancer Survivors in their Middle Years
박지숭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06-30, 보건사회연구 제37권 제2호, pp.525-561
- 910
중년기의 노부모 부양의식 및 부양행동평가와 개인의 노후설계간의 관계성 탐색 = The Relationships of the Caregiving Awareness, Caregiving Appraisal for Middle-aged and Senescent Life Plans
전혜성; 김미영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06-01, 보건사회연구 제32권 제2호, pp.206-231
- 909
중년여성의 문제음주수준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자아존중감의 다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Problem Drinking Level on Life Satisfaction of the Middle-aged Women: Focused on the Multipl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송진영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12-30, 보건사회연구 제34권 제4호, pp.523-553
- 908
중노년층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유형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f Perceptions among Middle-aged and Older Koreans about Dying Well: Focusing on Typology
이선희; 정경희한국노년학회, 2019-05-30, 한국노년학, vol. 39, no. 2, pp. 305 - 323
- 907
중도시 영세민지역 가족계획 실태조사 = Family Planning Status and Dissemination of Contraceptive Methods in Urban Slum Areas
조경식가족계획연구원, 1976-12-01, 가족계획논집, vol. 3, pp. 25 - 37
- 906
중독, 더 이상 방치할 문제가 아니다
하규섭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11-01, 보건복지포럼 2015년 11월 통권 제229호, pp.4
- 905
중동호흡기 증후군 환자 간호에 참여한 간호사의 외상 후 스트레스와 영향요인 = Factors Affected with Post-traumatic Stress in Nurses Involved in Direct Care for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Patients
정희자; 김지영; 정선영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12-31, 보건사회연구 제36권 제4호, pp.488-507
- 904
중동호흡기증후군
라기태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04-18, 글로벌사회정책브리프, vol.15, pp.1-6
- 903
중동호흡기증후군 대응 참여자의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Research of the Experiences of Responding the MERS-CoV outbreak in South Korea
전진아; 송은솔; 박은자; 서제희; 최성은; 김남순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8-05-31, 비판사회정책, vol. 59, pp. 347 - 384
- 902
"중복과 누락" 담론의 재구조화
최영준; 김주리; 이승준; 최혜진한국정책학회, 2014-03-31, 한국정책학회보, vol. 23, no. 1, pp. 257 - 284